김무성 원내대표에 위임… 참여도 저조 개헌의총 조기 종료
한나라당은 9일 오후 국회에서 이틀째 개헌 의원총회를 열어 개헌 문제를 전문적으로 정리해서 다룰 수 있는 당내 특별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
정옥임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오늘 의총에는 소속 의원 171명 중 113명이 출석했으며, 의원들 발언 중간에 특별기구 구성을 의결할 당시 출석의원은 90명이었다”면서 “특별기구 구성은 김무성 원내대표에게 위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나라당은 당초 10일까지 사흘간 개헌 의총을 계획했으나 참여도가 극히 저조함에 따라 이날로 의총을 마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의총이 끝난 뒤 “다음주 월요일(14일) 최고위 회의에서 상의해 특별기구 구성을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친이(친 이명박)·친박(친 박근혜)계간 의견이 극명하게 갈려 ‘반쪽 특별기구’가 될 가능성이 높고, 홍준표·나경원·정두언 최고위원 등이 개헌에 소극적이어서 최고위 의결조차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날 의총에서는 총 18명이 발언한 가운데 전날 침묵했던 친박계 의원 중 일부가 적극적으로 반대 의견을 개진했다.
경기·인천 의원 중 친이계 이화수 의원(안산 상록갑)은 “지역주민들의 여론을 조사해 보니 개헌에 공감하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시대적으로 맞는 헌법이 필요하다”고 개헌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중립성향의 황우여 의원(인천 연수)도 “원래 개헌은 필요하면 수시로 하는 것”이라며 “개헌의 방향은 국민의 기본권을 얼마나 규정할 수 있는가, 이에 적합한 정부형태는 무엇인가 고민해야 한다. 사심과 정파를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개헌을 위해서는 추진동력과 국민 공감대가 필요하다”면서 “추진동력은 언론과 NGO 등 사회구성원이 담아줘야 개헌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친박계 이경재 의원(인천 서·강화을)은 친이계가 개헌의 이유로 내세우고 있는 분권형 대통령제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헌반대 의사를 피력했다. 이 의원은 분권형 대통령제의 치명적 약점으로 국가위기시 독재출현, 책임의 모호성과 정치불안, 여소야대 동거개각시 정치 불안, 국회에 대한 불신 등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한편 중립성향의 남경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장(수원 팔달)은 기자들을 만나 개헌 특별기구 구성과 관련, “18대에서 개헌을 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특별기구를 구성해야 한다”며 ‘중재안’을 제시했다. 그는 “현재의 개헌논의는 정치적 오해가 크고 순수성을 잃었다”면서 “다음 대선 후보들이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19대 국회에서 대통령 임기 초반에 마무리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