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절감·공공복리 증진 위해 꼭 필요”

<인터뷰>  공동장사시설 추진 서장원 포천시장

“장례시설 조성에 따른 비용과 운영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도 공동장사시설은 필요하다.”

 

서장원 포천시장은 “주민들이 기피하는 장사시설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지자체들이 건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다음은 서 시장과의 일문일답.

 

-다른 지자체가 생각지도 못한 공동장사시설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공동장사시설은 시민들의 보건위생과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공공복리 증진을 위하여 절대적인 시설이다. 최근 매장보다 화장 후 납골묘를 설치하거나 자연장을 선호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지고 있다. 포천에서도 하루 평균 3명이 장례를 치르는데 그중 2명꼴로 화장을 선택하고 있다.

 

화장장 이용시 많은 장례비용 소요로 장사시설 건립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지난해 7월19일 이·통장, 주민자치위원장 등과 함께 수원시 연화장과 홍성 추모공원을 견학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됐다.

 

지난해 10월22일 주민설명회를 거친 뒤 지난 1월26일에는 장사시설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 주민공감대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구리 등 5~7곳 참여 희망

 

주민들과 적극적인 대화

 

상생의 장묘행정 펼칠 것

 

-공동참여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공동장사시설 참여를 희망하는 자치체는 구리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등을 비롯한 5~7개 자치단체다. 부지, 운영비 등 구체적인 방안은 앞으로도 논의해야 하지만 어렵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밖에 다른 지자체와도 장사시설 건립에 대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다.

 

-일부 주민들 반발도 예상되는데.

 

시가 일방적으로 부지를 선정하지 않겠다. 주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된 곳부터 우선 추진할 계획이다. 부지가 선정되면 지역주민들과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지역도 발전하고 장사시설 사업도 성공적으로 이끄는 상생의 장묘행정을 펼치겠다.

 

-시설 설치로 기대되는 효과는.

 

주민들이 포천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서 화장비용을 100여만원 지출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장사시설이 조성되면 주민들은 10여만원에 장례를 치를 수 있다. 또 시 자체 건립에 따른 비용과 운영비를 절감할 수있는 1석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욱이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자료에 의하면 장사시설 주변지역의 지가는 하락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장사시설이 더 이상 기피시설이 아니라 일부러 찾아 올 수 있는 테마를 갖춘 공간으로 함께 이뤄지도록 연구하겠다.  포천=안재권기자 aj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