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구제역 상황 해결 급선무”… 민주 “국정조사 통해 정부 책임 따져야”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한·김포)이 구제역 사태와 관련해서 자진사퇴를 표명하자 여야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는 등 논란을 빚고 있다.
한나라당은 30일 지금은 구제역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책임 문제는 구제역 상황을 해결한 뒤에 논의해도 늦지 않는다는 공식적인 반응을 보인 반면 친박계는 책임정치를 보여주는 모습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장관이 물러나는 것은 당연하지만, 사퇴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만큼 구제역이 정리되면 국정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배은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공직자로서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는 바람직하다”면서도 “지금은 구제역 상황을 조속히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이것에 최선을 다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친박계 도내 한 의원은 “책임정치 차원에서 유 장관의 사의 표명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일”이라면서 “유 장관은 최근 자리에 연연할 생각이 없다는 뜻을 밝혔었고, 안타깝지만 책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긍정적으로 밝혔다.
이와 관련 친이계 일각에서는 ‘유정복 책임론’이 계파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다고 우려되는데다 일부에서는 친박의 ‘책임정치’라는 효과를 얻기 위한 정치적 결정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반면 민주당 차영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부의 초기대응 은폐와 실패, 백신 접종시기, 방역매뉴얼의 부재, 정부의 뒷북대응 등 구제역 사태는 인재와 관재로 수조원이 넘는 피해가 예상된다”며 “구제역이 어느 정도 정리되면 국회의 국정조사를 통해서 구제역 방역 실패에 있어 정부의 무능에 대해 철저히 책임을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차 대변인은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서도 “구제역 초기 방관만 했던 이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전현희 원내대변인도 “정부는 이것으로 책임을 면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국민들과 민주당은 구제역 재앙에 대해 이후에 원인규명과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유 장관은 지난 2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의 구제역 사태를 조속히 종식시키고 모든 상황을 말끔히 수습한 다음에 깨끗이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강해인·김재민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