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정치인, 내년 총선ㆍ대선 의식 ‘충청 입지’ 주장
경기도 반발… “내달 과학계인사 중심 유치委 발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입지 선정을 앞두고 정치권 인사들이 잇따라 특정지역 유치 의견을 제시하는 등 정치 논리에 휩싸이면서 유치전에 뛰어든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더욱이 야당 뿐만 아니라 일부 한나라당 최고위원들까지 나서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의 충청권 표를 의식, 당위성을 주장하고 나서 정부가 발표한 공정한 절차와 입지 조건평가 등이 정치논리에 흔들리고 있다.
한나라당 정두언·나경원·서병수·박성효 최고위원은 18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과학비즈니스벨트, 어디로 가야 하나’ 토론회에서 충청권 입지 선정을 거듭 주장했다.
정 최고위원은 “세종시에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접합 시키면 세종시의 유령도시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나 최고위원은 “우리는 과학벨트를 충청권으로 가져가기로 약속했고,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공당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들의 주장은 내년 총선과 대선의 충청 표심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김무성 원내대표와 홍준표 최고위원은 당 차원에서 과학비지니스벨트 입지를 공론화할 경우, 다른 신청지역의 반발을 사는 등 지역갈등을 조장할 수 있다면서 당정간 조율을 거쳐 정부의 최종 입지선정 결정을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19일 대전에서 최고위원회를 열어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문제를 최종 정리할 계획이었으나 당정간 협의 미비를 이유로 연기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을 비롯 자유선진당도 한 목소리로 충청권 입지를 주장하고 있는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정치권 논리에 휩싸이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와 관련 유치운동에 뛰어든 경기도와 일부 지자체 및 주민들은 3조5천억원 규모의 국책사업을 추진하면서 입지조건이나 지속발전 가능성 등을 염두에 두지 않고 정치논리로 결정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반발했다.
도는 공식적으로 정치권의 논란에 신경쓰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고 다음달 초 도내 과학계 인사를 중심으로 유치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3월 교과부 등에 유치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또 도는 유치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3월까지 ‘중이온가속기 관악산 배치 타당성 용역’을 완료할 예정이다. 중이온 가속기는 바이오, 지구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어 과학자들로부터 호응을 받고 있다.
도 관계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100년 뒤 국가 장래까지 달려 있는 중요한 사안으로 정치적으로 결정될 사안이 아니다”라며 “어디서 연구했을 때 가장 연구결과가 클 것인지 전적으로 과학기술계의 뜻을 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나라당과 정부는 오는 27일 고위당정회의를 갖기로 해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문제가 정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재민·구예리기자 jmkim@ekgib.com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란?
기초원천연구·비즈니스·국제적 정주환경을 갖춘 ‘글로벌 과학비즈니스 도시’를 조성하는 국책사업으로 사업주체는 교육과학기술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등 3개 부처로 구성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추진지원단이다.
거점지구에는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등 대형연구시설이 들어서고, 대학 등 수준높은 교육시설과 함께 IT, BT, NT, GT 등 첨단산업분야의 기업과 그 연구소들이 유치된다.
거점지구를 중심으로 연구·비즈니스 금융·산업 등으로 특화된 기능지구를 조성, 상호 인력을 교류하고 문화·예술·비즈니스 환경을 공유하며 기초연구성과를 공동 활용하는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과학기술·산업·교육의 융합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