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용-환지 방식 싸고 갈등… 불법건축물 등 수년간 방치 우범지대 전락
인천시 계양구 효성구역 도시개발사업이 사업방식을 놓고 논란을 빚으면서 장기 표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효성구역에 난립된 무허가 불법 건축물 600동과 노후된 공장들만 수년 동안 방치되고 있어 재정비를 위해 서둘러 사업방식을 확정,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5일 시에 따르면 효성도시개발㈜는 최근 계양구 효성동 100 일대 43만4천989㎡에 아파트 3천188가구와 단독주태 14가구 등 3천202가구(8천646명)가 입주하는 수용방식의 효성구역 도시개발사업 제안서를 시에 제출, 이달 중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있다.
그러나 수용 및 환지 등 사업방식을 놓고 주민들은 물론 시와 시의회 등도 의견이 엇갈리면서 위원회에 상정하지도 못하고 지연되고 있다.
시는 우선 수용방식 제안서가 접수된만큼 위원회를 통해 타당성 등을 따져본다는 계획이지만, 내부적으로 사업방식에 대해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고 있다.
기존 전면 수용 형태의 사업방식에서 최근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환지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효성구역의 빠른 정비를 위해선 수용방식이 불가피하다는 입장과 부딪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과 시의회에서도 의견들이 팽팽하다.
홍성욱 시의원(민·계양2)은 지난해 9월 효성구역 내 20% 정도 토지를 소유한 주민 101명으로부터 “환지방식을 적용해 달라”는 청원을 받아 결국 본회의까지 통과했으나, 최근 이도형 시의원(민·계양1)이 1천830명으로부터 “조속하게 추진해 달라”며 사실상 수용방식을 지지하는 내용을 담은 청원을 받았다.
이성만 시의원(민·부평1)은 “사업기간이 길어질수록 효성구역에 난립한 무허가 건축물과 공장들이 공가상태로 방치돼 슬럼화 및 우범지대로 변하고 주민들간 갈등만 심화된다”며 “수용방식과 환지방식 등을 섞은 혼용방식으로 추진하고, 시가 각종 기반시설들을 지원해 조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사업방식에 대해선 의견들이 다르지만, 하루라도 빨리 진행돼야 한다는데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현 상태로는 수용방식도 추진이 불가능한만큼 위원회에서 좋은 방향으로 결론이 나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