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저지특위 설치할 것”

허재안 경기도의회의장

허재안 신임 경기도의회 의장은 “‘소통하는 의회, 견제하는 의정활동’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경기도의회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허 신임 의장은 특히 “민주당이 다수당이 된 것은 도정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철저히 하라는 도민의 열망이 반영된 것”이라며 “집행부와 대등한 위치에서 강력한 견제와 비판을 하되 상생을 기본 원칙으로 협력할 것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허 의장은 또 “의장은 도의회를 대표하지만 가장 중요한 일은 의원들이 의정활동을 충실하게 그리고 신명나게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다. 그것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여소야대 정국에서 경기도와의 관계 전망에 대해 “경기도와 반드시 각을 세울 필요는 없다. 도와줄 수 있는 것은 과감하게 도와 주겠다”면서 “국가가 추진 중인 4대강 사업은 국민의 70%가 반대하고 있다. 그런 것에 대해선 과감하게 대응하겠지만 긍정적인 사업은 도와 줄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무상급식 특위 구성과 관련, 허 의장은 “여야간 머리를 맞대어야 할 사안이다. 힘겨루기를 해서는 안된다. 어린이들을 상대로 해서 하는 일이기 때문에 어른들이 싸움을 해서는 안된다”며 “서로 대화를 통해 합리적인 안을 끌어내는 게 중요하며, 여야간 협력을 통해 기초단위의 예산을 확보하겠다. 그것을 위해 한나라당 의원들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위원장 선출을 놓고 교육의원들의 반발이 심한 것과 관련해 “도의회는 교섭단체에 의해 정당정치가 이뤄지는 곳으로, 교섭단체에서 상임위원장 배분에 대해 합의한다”며 “서운할 진 모르지만 교육의원들은 교섭단체 임원이 아니다. 가장 큰 경기도 교육을 책임질 교육위는 정당에서 위원장을 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허 의장은 이어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의장 출마에 대해 “의장직 출마를 공약으로 내세웠다”며 “그동안 의장은 서울시가 계속했고 그때만 해도 (서울의)인구가 많았지만 지금은 경기도 인구가 1천174만명이나 된다. 서울은 1천40만명으로 경기도가 더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현재 전국 광역의회 의장 중 민주당이 8명, 한나라당 6명, 자유선진당 2명”이라며 “광역협의체 의장은 중앙정부가 잘못가고 있는 부분에 대해 제재해야 하며, 자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4대강 사업과 GTX 건설에 대해 허 의장은 “4대강 사업은 국민의 70%가 반대하고 있는데 왜 그렇게 집착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전제한 뒤 “국민이 반대하는 사업 강행은 위험하다. 수도권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GTX 건설이 필요하다고 보지만 경기도가 아니라 국가가 주도해야 할 사업이라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허 의장은 끝으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광교 신청사 이전에 대해서는 “이미 부지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옮기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면서도 “성남시가 모라토리움을 선언한 사례를 본보기 삼아 우리 실정에 맞게 청사를 옮기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