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서 첫 유인항공방역 예정… “단시간 효과” vs “비용 부담·농작물 피해”
구제역이 경기남부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항공방제 실시 여부를 놓고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일각에선 단시간에 넓은 범위를 소독할 수 있는 항공방제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회당 200만~300만원씩 드는 헬기 임대비용과 농작물 피해 등을 감안하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용인시에 따르면 시는 이날 국내 첫 유인 항공방역을 시행하기로 하고 산불진화용 헬기에 방역 장비를 설치하는 작업을 마쳤다.
당초 설치를 마치는 대로 헬기를 띄워 우제류 가축이 밀집한 처인구 남사, 이동, 원삼, 백암면을 항공소독할 예정이었으나 눈이 내리는 등 기상이 악화돼 당분간 연기했다.
시 관계자는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면 항공방제를 할 것”이라며 “단시간 넓은 면적을 소독할 수 있어 차와 사람, 야생동물 등 다양한 물체를 숙주로 삼는 구제역바이러스를 박멸하는 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충남 서산에서도 지난 5월13일부터 3회에 걸쳐 무인 항공방역을 시행한 바 있다.
서산시는 민간업체로부터 무인 방제헬기 1대를 임대해 운산면 한우개량사업소 일대를 방역했다.
그러나 경기도는 항공방제의 효과를 알면서도 선뜻 시행하기 어렵다는 견해다.
도 관계자는 “아무래도 항공방제를 하면 기존 방식보다는 효과가 있겠지만 헬기 임대 비용이 너무 비싸고 도나 일부 시·군이 보유한 헬기도 모두 용처가 있기 때문에 동원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이 관계자는 “구제역 소독약이 농작물이나 (양봉 농가) 벌에 닿으면 피해를 낳을 수 있어 조심스러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무인 항공방역을 시행했던 서산시 관계자 역시 “항공방제가 초지 등 장애물이 없는 넓은 지역에는 효과적이지만, 나무나 소규모 농가가 밀집한 곳은 기존 방식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강한수·박수철기자 scp@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