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태풍’ 경기북부 초토화 축산업 붕괴 위기

사상 최대 살처분에 피해 보상액 500억 예상
축산농가 정상화 최대 5년…

 

 

구제역이 가평에 이어 포천을 덮치면서 북부지역 축산농을 초토화시킨 가운데 서부지역인 김포까지 확산되면서 도내 축산업계의 붕괴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경기도 구제역 방역대책본부는 22일 “전날 신고된 연천군 전곡읍 양원리 돼지농장과 포천시 일동면 사직3리 한겨우농장과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홍모씨 돼지농장의 의심가축이 구제역 양성반응을 보여 최종 구제역으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도내 구제역 발생은 지난 14일 연천, 양주에서 시작된 뒤 북부 지역 6개 지자체를 포함해 김포까지 모두 7곳으로 늘어났다.

 

이 때문에 피해 규모도 역대 최대로 보상비만 500억원 이상 예상되며 지금 확산이 멈춰도 재출하에 1~5년이 걸리는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북부지역 10개 시·군 가운데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은 의정부, 구리, 동두천, 남양주시 등 4개시 가운데 남양주를 제외하면 축산농가가 거의 없어 구제역에 사실상 초토화된 셈이다.

 

경기도 2청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22일 현재까지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살처분됐거나 살처분 예정인 우제류는 136개 농가 7만7천여마리이다.

 

이는 지난 1~2월 포천·연천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우제류 5천956마리의 10배를 훌쩍 넘는 사상최대 규모다. 이 피해는 지금의 확산 추세라면 훨씬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정부 차원의 피해보상 비용만 5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구제역이 한번 발병하면 살처분한 축산농가가 정상화되기까지 축종에 따라 최대 5년까지 걸리기 때문에 농가들의 실질적인 피해는 피해보상비용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다.

 

방역당국은 축산농가가 밀집돼 있는 포천과 그동안 가축질병이 한차례도 발생한 적이 없는 고양과 가평지역의 경우 짧은 시간내 확산이 우려되는 만큼 차단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방역당국은 살처분 범위를 그동안 반경 500m 이내에서 3㎞ 이내로 확대했다.

 

북부지역 이동통제소도 현재 140곳에서 포천 20여곳을 비롯해 고양 6곳, 연쳔 2곳 등 모두 30여곳을 추가 설치, 170개소로 확대했으며 김포 월곶면 군하·갈산·고정리, 통진읍 마송리 등에 이동통제소 10개소를 추가로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이날 특별교부세 10억원을 도에 지원했다. 도는 이날 중으로 구제역 발생시군에 배분해 구제역방역대책에 사용토록 할 계획이다.

 

포천시 한우협회 안채용 회장은 “연초 구제역으로 자금 문제 때문에 축산업을 그만 둔 사람들이 상당수 있다. 구제역이 또 발생해 지역축산업이 붕괴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북부취재본부=김동일기자 53520@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