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도발 언제나 가능해”… 北 동향 점검

국가안전보장회의 소집

국가위기관리센터→국가위기관리실로 확대 개편

 

이명박 대통령은 21일 북한의 추가도발 가능성 및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했다.

 

특히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는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수석비서관급을 실장으로 한 ‘국가위기관리실’로 확대 개편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의 추가 도발이 언제 어떻게 일어날지 모르는 상황에서 긴급하게 국가안전보장회의가 소집됐고, 국가위기관리센터를 확대 개편됐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김황식 국무총리을 비롯 김성환 외교통상, 현인택 통일, 김관진 국방, 맹형규 행정안전 장관과 원세훈 국정원장, 임태희 대통령실장 등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연평도 해상에서 이뤄진 우리 군의 포 사격 훈련이 종료됨에 따라 북한군의 동향을 보고받고,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급변하고 있는 한반도 정세를 점검해 대응전략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NSC는 이명박 정부 들어 다섯번째로, 지난 5월21일 천안함 침몰의 원인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따른 것으로 결론나면서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이후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NSC에서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수석비서관급을 실장으로 한 ‘국가위기관리실’로 확대 개편했다.

 

국가위기관리실은 국가위기관리비서관실, 정보분석비서관실, 상황팀 등 3개 조직으로 구성되며, 평소에는 안보와 재난재해를 점검하고 위기가 발생할 경우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관하게 된다.

 

국가위기관리실 예하의 국가위기관리비서관실은 위기시 초기대응을 지휘하는 한편 평시에는 안보·재해재난을 비롯한 각종 위기에 대비한 체계를 점검하게 되며, 국가위기관리비서관은 김진형 현 국가위기관리센터장(해군 준장)이 맡게 된다.

 

정보분석비서관실은 정부부처와 기관의 주요 정보를 취합해 종합적으로 분석해 이를 매일 대통령과 대통령실장에게 보고하게 된다. 상황팀은 24시간 재해재난 및 안보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