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 경기도 업무보고서 강조
지역균형발전을 두고 정치적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이 지역 균형은 똑같이 나누는 균형이 아닌 지역에 맞는 특성화된 발전을 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발표로 그동안 메가시티를 비롯 수도권의 경쟁력 강화를 주장해 온 경기도의 장기비전과 합치되면서 김문수 지사가 주도하고 있는 발전전략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2월 5일 오전 안산 경기테크노파크에서 열린 경기도 업무보고에서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지역)균형은 나누는 게 아니라 특화발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가 10개를 나누기만 하면 아무리 나눠도 10개”라면서 “창조적으로 10개를 20개, 30개로 만들어 일하게 되면 국력을 키울 수 있다”고 구체적인 발전 전략까지 제시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5+2 광역경제권 활성화 전략’에 언급, “호남, 영남, 충청, 강원, 제주 등 각 지역의 특화된 발전을 위한 일을 하고 있다”면서 “경기도와 전남의 이해가 상충되는 게 아니라 각자가 상호 보완, 특화발전한다”고 지적했다.
지역별 특성에 맞는 발전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한 원론적 언급이나 최근 정치권 안팎에서 차별, 역차별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세종시 문제’를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올해도 지방자치단체나 중앙(정부)이나 모두 일자리를 지키고 창출하는 일에 전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일자리를 지키고 만드는 것이 가장 좋은 복지이고, 가장 좋은 서민정책”이라며 “일자리는 기업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업무보고에 나선 김문수 경기지사는 일자리 창출, 재정 조기집행, 기업 기(氣)살리기, 한강살리기, 친(親) 서민 무한돌봄 정책 등 각종 정책을 보고한 뒤 지역발전을 위한 현안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또 김 지사는 ▲자연보전권역의 기업규제 개선▲GTX 3개 노선 동시 추진 ▲주한미군기지 이전시기 조기확정 및 평택기지 조기 건설 ▲유니버셜 스튜디오 사업부지 저가 제공 및 서해안 간척지 용도 변경 등을 건의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