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전철 바꿔 지하철9호선 연장 가닥… 23일 주민공청회
LH ‘1조원 사업비’ 부담 동의·8천억 재원확보 큰 난제
서울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는 김포도시철도 기본계획변경안에 대한 윤곽이 드러났다.
유영록 김포시장은 지난달 22일 김포시의회 제115회 정례회 본회의에서 김포도시철도 기본계획변경안을 설명했다.
경전철 사업을 전면 중단하고 중전철로 추진하면서 그동안 불필요한 지역사회 내 갈등과 분열을 감안해 기본계획변경안에 대해 보안을 유지해온 터라 어떤 방안이 나올 지 주목되고 있다.
■ 역사 5~6개소, 건설비 1조8천억원
서울지하철 9호선 김포연장의 기본 골격은 기존 경전철 25㎞의 총 연장을 22㎞로 직선화하고 역사도 10개에서 5~6개로 줄여 건설비를 최대한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이럴 경우 총 건설비를 2조2천억원에서 1조8천억원대(㎞ 당 850억원)로 줄이고 운영비도 연간 260억원으로 크게 축소할 수 있을 전망했다.
유 시장은 기본계획변경안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가급적 논쟁을 자제해줄 것을 요청하고 오는 23일 주민공청회에서 모든 계획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아직 기본계획변경 용역이 수행 중이지만 시는 3가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이중 지역 여건에 타당한 방안을 선택할 계획이다.
3가지 안 중 2개 안은 9호선을 직접 김포로 연장하는 안이고, 1개 안은 9호선에 환승하는 안이다. 9호선 김포 직결안 중 하나는 한강신도시 내 역사를 2개소로 하는 안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를 3개소 건설하는 안이다.
시는 내년 2월까지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안을 경기도에 제출, 같은 해 8월까지 국토해양부의 광역교통개선대책 및 도시철도기본계획 변경을 승인받을 예정이다.
이어 내년 10월까지는 각종 영향평가와 기본조사를 마치고 오는 2012년 6월까지 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12월 본격 착공, 2017년 시운전을 거쳐 늦어도 2018년 초께는 정식 운행한다는 구상이다.
■ 재원확보·민원해결 난제
문제는 국토부가 시의 기본계획 변경안을 승인할 수 있는 조건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다.
가장 큰 숙제는 재원확보다. 시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지난 민선4기 때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내놓키로 한 1조원은 기본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나머지 8천억~9천억원의 재원대책을 내놓는데 주력하고 있다.
시는 신도시에서 나오는 취·등록세 중 23%의 교부세가 7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보고 이를 상당부분 우선 사용하고 역세권 개발을 통해 1천억원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300억원만 넘지 않으면 예비타당성을 받지 않고도 국비를 받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하고 연차적으로 도비를 지원받을 경우 1천억원 정도의 국·도비 지원도 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상되는 민원도 문제다. 경전철 계획에서 통과키로 했던 풍무동 지역이 직선화로 제외돼 풍무동 주민들의 반발이 발목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직선화로 인해 한강신도시의 2단계 지역(3·4공구)은 역세권에서 완전히 제외돼 이미 분양이 완료된 입주 예정자들과 택지를 분양받은 건설사들의 반발과 예상되는 소송도 큰 난제다.
■ LH 사업비 동의 가장 큰 관건
국토부 승인의 Key를 쥐고 있는 LH의 동의를 받아내는 일이 가장 큰 관건이다. LH의 동의를 받아내지 못하면 사업비의 막대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조원을 받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시의 노선계획과 늦어지는 사업추진시기에 대해 LH는 냉담하다.
LH는 경전철 계획에 따라 한강신도시 내에 4개 역사를 설치, 전역을 역세권으로 계획해 이미 아파트를 분양하고 택지를 건설사에 분양한 현 시점에서 이를 벗어나는 노선 및 역사 설치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LH 관계자는 “시의 도시철도 사업에 LH가 내놓는 1조원은 한강신도시 입주민들이 내는 돈”이라며 “신도시 분양 때 계획된 노선이나 역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면 인정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김포=양형찬기자 yang21c@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