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한·EU FTA 경기지역설명회’
한·미, 한·EU FTA 체결에 따라 중소기업과 농업분야 지원대책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9일 오후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관계부처 합동 한·미, 한·EU FTA 경기지역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은 FTA 체결에 따른 파급 효과를 기대하면서도 중소기업과 농업분야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가 공동 주최한 이날 설명회에서 발표자로 나선 김은경 경기개발연구원 경제사회연구부장은 한·EU FTA 체결로 경기도는 연평균 제조업 생산액이 3천100억원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를 전망했다.
반면 정밀화학과 기계 산업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했다.
이진수 경기도 투자통상본부장은 “도는 FTA 수혜산업 분야에 대해서는 규제개선을 지원하고 축산 등 피해 산업분야에 대해서는 생산·판로·기술개발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중앙부처와 연계한 직접 보상도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축산 농가 지원 대책과 관련, 신현관 농림수산식품부 축산정책과장은 “피해가 예상되는 한육우 분야의 양돈, 낙농, 양계 분야의 경쟁력 제고에 지원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향후 10년 동안 2조원 규모가 지원된다”고 설명했다.
토론자로 나선 한재필 숭실대학교 교수는 “중소기업들이 FTA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축산 농가 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마창환 기획재정부 기획총괄팀장은 “우리나라는 FTA 체결추진은 늦었으나 짧은 기간에 다수의 국가와 FTA를 체결했다”며 “기업의 FTA 활용기반 확충을 위해 ‘FTA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