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유기동물보호시스템 ‘허점’

위탁보호업체 실적 올리기 위해 마구잡이 포획·사냥 의혹 시의원 “예산 남용 등 업체 계약 무효화해야”

고양시의 유기동물들이 실적을 올리기 위한 위탁보호업체의 횡포로 마구잡이로 포획되는 등 동물보호시스템에 허점을 드러냈다.

 

8일 시에 따르면 지난 해 지역 내 유기동물은 개 935마리, 고양이 1천326마리로 집계됐으며 이중 고양이는 매년 1천~1천500마리가 포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 도내 인구 대비 개가 8.4%의 포획비율을 보였지만 고양이는 12.1%로 다른 시·군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서울시의 경우 날씨가 추울 경우 고양이는 중성화수술 후 방사하면 살아남기 힘들어 포획하지 않고 있지만 고양시는 지난 해 1월 153마리, 2월 159마리, 3월 154마리, 11월 76마리, 12월 73마리를 잡아들이는 등 계절과 상관없이 포획해왔다.

 

지난 해 전국통계를 보면 고양이는 포획 후 인도 6.1%, 분양 24.5%, 방사 18,2%, 안락사 25.5%의 비율을 보였지만 고양시는 안락사 10.8%, 중성화수술 88.5%로 분양은 전혀 없고 중성화수술과 함께 매년 1천마리 이상의 고양이에게 마이크로칩을 시술, 예산낭비 의혹마저 일고 있다.

 

더구나 시와 위탁업체는 고양시 수의사회 소속 23개 병원 수의사 24명이 유기동물 시술에 참여한다고 협약했지만 2007년 8월부터 2009년 5월까지 A동물병원의 수의사 1명이 중성화수술을 전담해 왔다.

 

특히 진료 후 처리내용은 전혀 기록돼 있지 않아 진료소를 거쳐간 유기동물들의 건강상태나 행적을 파악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박윤희 시의원(민주·주엽1, 2동)은 “매년 3억원 정도의 관련예산을 지원받고 있는 위탁업체가 실적을 늘리기 위해 주민 신고와 상관없이 전문 포획사를 두고 고양이 사냥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약값도 다른 동물병원보다 비싸게 책정돼 있고 광견병약은 국가의 무료 지급 약품임에도 예산이 책정돼 있다”며 “마구잡이 포획에 예산을 남용하는 위탁업체와의 계약을 무효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양=박대준기자 djpar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