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추가협상 타결에 대책 없어 ‘허탈’… 농협 “고품질·친환경 농산물로 대응해야”
경기도내 농·축산 농가들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가협상 타결 소식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5일 정부에 따르면 양국은 지난 3일 추가협상을 타결, 미국산 냉동 돼지고기에 매기는 25%의 관세를 단계적으로 철폐하는 일정을 2년에서 4년으로 늘렸다.
그러나 자동차 부문에서 미국측 요구를 수용한 대신 농산물 부문에서 우리의 요구를 관철했다는 정부의 주장과 달리 농민들이 느끼는 부담감은 여전했다.
화성에서 돼지를 키우는 김모씨(55)는 이번 추가협상 소식을 듣고 한숨만 나왔다.
지난달 말 발생한 구제역으로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큰 상황에서 한·미 FTA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걱정이 앞섰기 때문이다.
그는 “일을 해도 줄지 않는 농가부채에 구제역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는데 마땅한 대책이 나올 기미는 없으니 더 이상 땀흘려 일할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함영훈 한국농업경제인 경기도연합회 수석부회장은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농산물에 불이익을 준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농업 현실을 아무리 이야기해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아 한계를 느낀다”고 토로했다.
함 부회장은 연말이 되면 사료값 지출과 소값 하락 등으로 자금압박이 현실화될 것으로 우려된다며 현재 땜질식 대책 대신 농업인들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이나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종필 경기도양돈연구회장은 “미국과의 FTA에서 크게 우려하지 않았던 양돈업계가 시간을 번 만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정부가 농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할 때”라고 설명했다.
농협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구제역으로 농가들과 지원기관들의 정신이 없는 상황에서 한·미 FTA까지 여러가지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추가협상에서 시간을 2년 연장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그 기간동안의 대책마련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EU와의 FTA 등 수많은 과제가 남아있기 때문에 농가들도 스스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가를 절감하는 등의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며 “고품질·친환경 농축산물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