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선시대 한양과 개성을 오가는 교통의 요지였던 임진나루(파주시 문산읍 임진리 위치)를 옛 모습으로 복원해 개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25 전쟁 이후에도 문산읍 임진리와 파평면 율곡리 주민들은 임진강에서 수영을 하거나 고기를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군이 이 지역에서 철수한 1972년 이후 한국군으로 교체되면서 임진강 북쪽 뚝방에 설치됐던 철책을 철거, 남쪽 뚝방에 설치하면서 주민들의 임진강 출입이 어민들 이외에는 제한돼 왔다.
임진강에서 잡은 메기와 참게 등을 이용한 매운탕과 장어, 황복 요리 등으로 널리 알려진 임진리 마을에는 장단가든, 임진대가 등 10여개의 식당이 영업을 하고 있다.
마을 주민과 식당 업주들은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 차원에서 임진나루 개방을 주장하고 있으며, 문화재를 사랑하는 시민들은 화석정과 연계해 임진나루 개방과 함께 옛 모습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임진리 마을 주민들을 정점으로 문산읍 차원에서 지난 1980 년대부터 임진나루 개방과 복원을 파주시와 군부대 등 관계기관에 진정해 왔다.
그러나 군부대 측은 군사시설보호법과 군경계상의 이유로 개방을 반대하고 있어 주민들이 요구사항이 아무런 진척을 보지 못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주민들은 최근 들어 한강변 철조망 철거 및 임진강 평화생태공원 추진 등 안보 및 군 경계에 큰 지장이 없는 선에서 임진나루 개방과 함께 복원에 기대감을 갖고 있다.
최영선 임진리 이장은 “마을 주민들은 임진나루터가 개방돼 지역경제 활성화에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며 “우선 출입어민들을 위해 주간 2인1조에서 1인1조로 어로행위를 할 수 있는 조치와 주간에 일반인들이 출입할 수 있는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군부대 측은 군 경계의 중요성을 내세워 불가 입장을 보이면서도 최근 경기도가 추진하는 평화생태공원 조성과 관련해 임진각의 자유교와 통일대교에 최첨단 경계시설을 설치한 후 통일대교 위쪽의 남쪽 철책을 철거하거나 관광시설로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어 임진나루 개방에 대한 희망을 갖게 했다.
주민들 “지역경제·관광 활성화 기대” 한목소리
군부대 “첨단 경계시설 설치… 철책 제거 검토”
파주시 “평화생태공원 등 복원 계획 반영 최선”
그러나 임진각과 임진강, 초평도 등을 연계한 평화생태공원은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지만 예산확보 등이 어려워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평화생태공원 계획에 임진나루 복원계획은 빠져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경기도는 평화생태공원 추진 일환으로 통일대교 남단에서 임진나루까지 평화트레킹코스(6㎞)를 개발, 매주 트레킹 행사를 진행하는 등 평화생태공원 추진을 다각적으로 펼치고 있다.
김 현 경기관광공사 팀장은 “최근 임진강 자유교와 통일대교 구간의 첨단장비에 의한 군경계력 강화사업이 끝난 상태여서 후속 작업들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무엇보다 예산확보가 계획대로 되지 않아 어려움은 있지만 우선 확보된 예산으로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윤희 적심재문화연구소장은 “고려 중기 이후 개경과 남경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였던 임진나루터에는 2층으로 된 진남문이 있었고 배를 타려고 기다리는 사람들을 위해 임진리에서 문산읍 선유리까지 객주와 주막이 즐비하게 늘어설 정도로 중요한 지역이었다”며 “이제는 개발보다 역사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문화재 복원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파주시 관계자는 “경기도의 평화생태공원과 중앙정부의 DMZ생태관광개발계획 등이 맞물려 임진강과 민통선지역이 관광자원으로 본격 개발되고 있다”며 “이에 발맞쳐 임진나루터 개방과 복원계획도 최대한 방영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