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친환경 장사시설 ‘난항’

연천군이 자연친화적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결정하고 인근 지자체들과 광역 종합장사시설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장사시설 건립 예정지인 청산면 주민들과 인근 전곡읍 주민들이 장사시설 건립 반대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적극 저지에 나섰다. 특히 장사시설을 유치했던 장탄1리 주민들이 마을총회를 개최한 결과 지난달 28일 ‘장사시설 유치 포기신청서’를 연천군에 접수해 사업 추진 자체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장탄1리 주민, 반대서명 받아 ‘유치포기 신청서’ 접수

 

郡, 법리 해석 등 대책 마련 부심… 2013년 완공 차질

 

■ 사업 추진

 

연천군은 지난 2009년 연천군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 용역 결과를 토대로 부족한 화장시설 및 자연친화적 자연장지 등을 포함한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하기로 했다. 군은 지난 8월30일 최신공법인 백연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친환경시스템을 적용해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이에 군은 오는 2013년 종합장사시설 준공을 목표로 내년 6월 말까지 관리계획 수립 용역을 완료하기로 했다.

 

종합장사시설의 건립 규모는 6만㎡ 부지에 화장로 4기, 봉안당 2천500기, 자연장지 1만1천여기와 장례식장을 제외한 주차장 등 장사편의시설이 포함된 지하 1층, 지상 2층의 고품격 최신식 건축물로 화장장을 건립하기로 했다.

 

진입도로는 청산면 대전리 산 51 일대에 신규 도로 750m를 개설할 계획이다.

 

■ 추진 과정

 

군은 최적의 건립지 및 공정한 후보지 선정을 위해 지난 2009년 3월9일부터 같은 해 8월5일까지 연천군 종합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같은 해 12월 전곡읍에서 지역주민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공청회를 개최, 사업 설명과 주민의견을 수렴했다.

 

군은 2월부터 4월까지 리별 유치후보지를 공모한 결과 전곡읍 고능리, 청산면 장탄1리, 장탄2리 등 3개 지역이 후보지 신청을 했고, 이들 지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용역과 함께 지난 8월 입지선정위원회를 재구성해 공정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 주민동의는 장탄1리(73.8%)보다 장탄2리가 89.3%로 많았지만, 국공유지 비율이 31%로 토지 확보가 용이하고 보상비 등의 경제적 요인, 장래 광역장사시설 설치시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장탄1리를 후보지로 최종 선정했다.

 

■ 주민 반발

 

연천군 종합장사시설 입지선정위원회는 지난 8월30일 종합장사시설 건립 부지로 청산면 장탄1리를 결정했다.

 

그러나 입지 장소인 청산면 주민들에게는 적극적인 홍보 및 주민설명회가 없었으며 한달여가 지난 9월26일에는 인근 전곡읍 반대대책위가 결성됐다.

 

이어 청산면 주민들도 ‘장사시설 건립 반대대책위’를 구성하고 전곡읍 반대대책위와 보조를 맞춰 장사시설 저지 운동에 나서고 있다.

 

청산면 주민들은 “장사시설이 연천에도 있어야 하는 것은 인정하지만 연천의 관문인 청산면 대전리 일대에는 쓰레기매립장, 쓰레기 소각시설, 건축폐기물업체, 각종 폐수가 난무하는 불법 염색단지 등 각종 폐기물 관련 업종의 집합장소”라고 강조했다.

 

또 “경원선 기차도 전철화되면서 타당성과 경제성을 이유로 ‘초성리역’ 마저 역사 속으로 사라져갈 위기에 놓인 청산면이 군부대 탄약고와 대규모 종합훈련장 건설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도 모자라 종합장사시설까지 떠안아야만 하느냐”며 반발하고 있다.

 

장탄1리 서명국 이장은 마을 총회를 열어 전체 50여가구 중 47가구의 반대서명을 받아 ‘종합장사시설 유치 철회(포기) 신청서’를 지난 10월28일 연천군에 접수했다.

 

■ 지자체 입장

 

연천군은 지난 10월26일 전곡읍사무소 회의실에서 전곡읍과 청산면 주민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설명회를 개최했으나 주민들이 본질을 호도하려는 설명회라며 거세게 반발, 결국 무산됐다.

 

군은 총 186억원의 사업 예산 중 국비 39억원, 도비 8억4천여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140여억원을 군비로 충당해야 하는 부담이 커지자 지난 9월 인근 지자체와 광역장사시설 건립을 추진키로 했다.

 

인근 지자체도 광역장사시설 건립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군은 유치 포기에 대해 법리 해석과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는 것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연천〓이정배기자 jblee@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