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9 자주포 배치·정밀타격유도무기 도입 등 2천636억
군이 북한의 연평도 무력도발과 관련해 서북도서 지역의 대대적 전력증강을 위한 예산 배정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참모본부와 방위사업청은 25일 국회 국방위원회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에 보고한 ‘서북도서 전력보강 계획’을 통해 약 2천636억원의 내년도 예산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우선 북한의 해안포 포격에 대응사격에 나섰던 K-9 자주포를 ○○문 배치할수 있는 예산 약 820억원을 요청했다.
군은 현재 K-9 자주포 6문이 배치된 연평도에 ○○문을 추가 배치하고 백령도에도 새롭게 K-9 자주포 ○문을 운용하겠다는 입장이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하기 위해 정밀타격유도무기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 560억원도 요청했다.
군은 또 북한의 1차 포격 때 연평도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대포병레이더(AN/TPQ-37)를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하기 위해 371억원 가량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방침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대포병레이더의 미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음향탐지레이더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도 요청했다.
대포병레이더는 직선으로 날아오는 북한 해안포는 탐지하지 못하는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전술비행선, 해군운용 UAV(무인항공기) 성능개량 그리고 K-55 자주포 성능개량 등을 위한 예산도 군은 요구했다.
예산결산심사소위 위원들은 서북도서 전력증강을 위한 예산증액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이 무기들이 도입됐을 때 서북도서 전력이 얼마나 증강되고 북한 해안포를 어떻게 무력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동성(한나라당) 소위원장은 “군이 서북도서의 감시능력, 타격능력, 정밀타격능력을 대폭 보강하는 차원에서 예산배정을 요구했다”며 “군이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내주 다시 소위를 열어 예산증액 필요성을 심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