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쾅 소리 후 목에서 피 솟구쳐…”

<北, 연평도 도발> 부상자 김지용 상병 가족이 전하는 사고 순간

“폭발진동으로 적 도발 직감… 2차 폭격때 부대안 포탄 떨어져 아비규환”

 

“쾅 하는소리가 나더니 입에서 피가나고 목에서는 피가 솟구쳤습니다. 그리고 정신을 잃었습니다”

 

23일 북한군의 연평도 해안포 사격으로 중상을 입고 성남 국군수도병원에 이송된 김지용 상병(21)이 당시의 끔찍했던 상황을 어머니 문정자씨(47)와 작은아버지 김영길씨(37)를 통해 전해왔다.

 

23일 오후 3시30분 전후 김 상병은 북의 해안포 사격 도발로 전사한 서정우 하사(22) 등 휴가자들을 선착장으로 배웅하고 차량을 타고 돌아오던 중이었다. 이후 고막이 찢어질 듯 폭발음이 귀청을 때렸고 폭발진동으로 땅이 흔들리는 것을 직감할 수 있었다.

 

순식간에 희뿌연 연기가 피어 올랐으며 주변은 우왕좌왕하는 마을 주민들로 인해 아수라장으로 변해있었다.

 

적의 도발임을 직감한 김 상병은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며 주민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킨 뒤 곧바로 부대로 복귀했다.

 

부대도 비상 상황에 돌입하고 상급부대로 사고 상황을 보고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그러는 도중 북의 2차 포 사격이 가해졌고 갑자기 ‘꽝’하는 폭발음이 들리며 부대 안에 포탄이 떨어졌다. 순간 온몸이 저리며 눈앞이 가물가물해지더니 시야가 흐려졌고 입과 목구멍에선 피가 솟구쳤다.

 

오른쪽 몸 부위 손과 발 등에 많은 파편이 박혔고 목 부위는 기도가 연결되는 부위까지 찢어졌는지 피가 멈출줄 몰랐다.

 

옆에 있던 간부 한명이 파편상을 입은 목 부위의 피를 멈추게 하기 위해 목을 누르며 지혈을 했다.

 

이후 북의 포 사격이 멈췄고 부대안 장병들은 부상한 김 상병을 안전한 곳으로 옮겼다.

 

이후 김 상병은 군 함정으로 다른 부상 장병들과 함께 평택 2함대까지 후송됐고 다시 헬기편을 통해 성남에 있는 국군수도병원으로 옮겨졌다.

 

의료진은 후송된 김 상병의 상태를 보고 곧바로 파편 제거 등을 위한 응급수술에 들어갔고 수술은 다음날인 24일 새벽 4시30분까지 이어졌다.

 

수술 후 상태가 호전된 김 상병은 이날 오후 3시께가 돼서야 국군수도병원 4층 병동에 있는 5인실 일반병동으로 옮겨졌다.

 

김 상병의 어머니 문정자씨는 “아들이 사고 당한 시각이 오후 3~4시께인데 오후 8시가 돼서야 병원으로 후송됐다”며 “작전상황이라 헬기를 띄울 수 없었다는데 생사기로에 선 응급환자 이송에 헬기를 이용했어야 하는 거 아니냐”며 군 당국의 대처에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문민석·박민수기자 kiryang@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