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연평도 포격
개성공단·금강산 체류 국민 안전 챙기고
국민불안 해소 대응방안 24시간 점검키로
북한의 도발 행위가 벌어진 23일 정부 각 부처마다 비상사태에 들어가 전 공무원 대기령을 내리는 등 비상 대비에 나섰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이날 북한이 연평도를 해안포로 공격한 것과 관련, 전 공무원에게 비상 대기령을 내렸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북한의 도발로 국회 예결위가 중단됨에 따라 곧바로 세종로정부중앙청사 집무실로 복귀해 간부들을 소집, 긴급 회의를 열었다.
김 총리는 육동한 국무차장 등으로부터 현재까지 파악된 상황을 보고받는 한편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내각 차원에서 대응할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총리는 당초 이날 저녁에 잡혀 있던 한나라당 원내대표단과의 만찬을 취소했으며 그외 개인적인 일정도 전부 취소했다고 총리실 관계자는 전했다.
통일부도 북한의 연평도 해안포 발사와 관련해 비상상황실을 구성해 가동에 들어갔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엄종식 차관이 주재하는 긴급회의를 열어 엄 차관을 실장으로 실·국장 등 10여명으로 구성된 비상상황실을 꾸렸다.
비상상황실은 개성공단 및 금강산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을 챙기고,현지 상황 파악 및 유관부처 협조 등의 업무를 할 예정이다.
이날부터 24시간 체제로 운영되며 매일 오전 8시 비상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한다.
통일부는 앞서 북한의 해안포 발사 소식이 알려진 직후 개성공관관리위원회와 금강산 지역에 나가 있는 현대아산 사업소를 통해 현지 체류인원의 신변안전을 강화할 것을 지시했다.
오후 3시30분 현재 개성공단에는 976명, 금강산 지역에는 14명의 우리 국민이 체류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현재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역에 특별한 동요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북측의 특이한 언동도 없다”며 “과거 핵실험 등의 전례로 볼 때개성공단이나 금강산 지역 내 북측 인원이 해안포 발사 소식을 인지하지 못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도 북한이 연평도 부근에 해안포와 곡사포를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한 것과 관련해 “본부 및 전 재외공관 직원들에게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밝혔다.
김재민기자 jmkim@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