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라면 등 가격 불안정 제품 새로 선정 부당 가격 시중가 인하 유도 물가안정 ‘고삐’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가격을 중점적으로 감시할 48개 품목이 공개됐다.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산업 집중도가 높거나 국내외 가격차가 클 것으로 보이는 30개 품목 및 가격불안 가능성이 큰 품목 18개 등 총 48개 가격 중점감시 대상 품목이 선정된 것이다.
8일 기획재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 등 정부기관이 발표한 ‘가격감시 조사대상 품목 선정 기준 및 품목’에 따르면 48개 품목은 정부가 2008년부터 경쟁동향, 가격 등을 조사해온 11개 품목과 달라진 소비패턴을 반영해 올해 새롭게 선정한 19개 품목, 최근 가격 불안정성이 높아졌다고 판단되는 18개 품목 등이다.
우선, 11개의 기존 조사품목은 캔맥주, 영양크림, 휘발유, 경유, 액화석유가스(LPG), 가정용 세제, 스낵과자, 우유, 종합 비타민제, 오렌지 주스, 전문점 커피 등이다.
달라진 소비패턴을 반영해 새로 포함된 19개 품목에는 ▲디지털 기기(게임기, 디지털 카메라, 액정표시장치(LCD)·발광다이오드(LED) TV, 아이폰, 넷북) 등 5개 ▲식품(생수, 아이스크림, 치즈, 프라이드 치킨, 초콜릿) 5개 ▲보건용품(타이레놀, 일회용 소프트렌즈, 디지털 혈압계, 아토피 크림) 4개 ▲생활용품 (아동복, 유모차, 에센스, 샴푸, 베이비로션) 5개가 포함됐다.
여기에 밀가루, 라면, 빵, 쇠고기, 돼지고기, 양파, 마늘, 식용유, 달걀, 설탕, 바지, 분유(유아용), 등유, 화장지, 위생대, 토마토, 콜라, 피자 등 18개 품목은 최근 가격 불안정성이 높다는 이유로 새로 선정됐다.
정부는 앞으로 이들 48개 품목의 가격동향을 주시하고 국내외 가격차를 공개하며, 부당한 가격 인상이 있으면 시중가 인하를 유도하는 등 물가안정의 고삐를 조일 계획이다.
또 대상 품목의 시장구조 및 경쟁환경을 상시로 감시해 부당행위가 드러나면 공정위와 국세청 등 관련부처를 통한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늦어도 오는 11월 말까지는 이들 품목의 가격정보를 소비자에게 공개할 방침”이라며 “추후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이들 품목에 대한 가격안정 대책을 확정한 ‘생활필수품 가격안정대책’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