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파동’ 김치 제조업체 후폭풍

김치값 인상하자 음식점들 ‘중국산 김치’ 대체… 3곳 중 1곳 개점휴업

배추파동 후폭풍이 인천지역 김치 제조업체로 번지고 있다.

 

배추값이 급등하면서 김치 제조업체들이 음식점에 공급하던 김치가격을 30~40% 인상하자 대다수 음식점들이 중국산 김치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7일 인천김치절임류가공사업협동조합(조합)에 따르면 지역 김치 제조업체 30여곳은 배추가격이 올라 제조단가가 높아지자 최근 국내산 배추김치 가격(10㎏ 당)을 1만5천~6천원(10㎏)에서 2만5천원까지 올렸다.

 

김치 제조업체들은 배추가격이 포기당 1만5천원까지 치솟고, 무도 1개당 6천원까지 오르는 등 김치 제조단가가 오른만큼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김치 제조업체들로부터 김치를 공급받던 음식점 대부분이 2배 가까이 오른 김치가격을 감당하지 못해 10㎏ 당 1만5천~6천원인 중국산 김치를 사용하면서 김치 제조업체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조합 측은 김치 제조업체 3곳 가운데 1곳은 개점 휴업상태나 마찬가지로 보고 있고, 나머지 김치 제조업체들의 김치 생산량도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줄어든 국내산 김치 생산량만큼을 중국산 김치가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식약청 등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 인천항으로 들어온 중국산 김치량은 하루평균 150~200t에 이를 정도. 지역 하루평균 김치 소비량인 250t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음식점들의 김치 원산지 허위 표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산 김치를 사용하다 중국산 김치를 쓰는 음식점들이 대부분 종전처럼 국내산으로 표기하고 있지만 단속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경우들이 더 많기 때문이다.

 

최근 한달 동안 국립농수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과 인천시 등이 지역 음식점 30곳을 대상으로 단속, 김치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2곳을 적발했다.

 

그러나 김치의 경우, 거래명세표 등을 6개월 동안 의무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검사대상에 속하지 않아 단속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에 대해 농관원 관계자는 “인력 부족으로 모든 음식점들을 돌면서 단속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우선 중국산 김치를 쓰는 것으로 의심되는 곳은 거래명세표 등 장부를 확인해 적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km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