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0.7%p 증가… 분만시설 확충 등 대책시급
경기도내 임산부 5명 중 1명은 자연유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만 취약지역일수록 유산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산부인과와 분만시설 확충 등 정부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 신상진 의원(한·성남중원)이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복지부가 제출한 ‘연도·연령·지역별 자연유산율 현황’, ‘분만 취약지 선정 및 지원계획’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연유산율은 2007년 19.6%에서 지난해는 20.3%로 최근 3년간 0.7%p 증가했다.
이중 경기도는 2007년 19.0%에서 2008년 19.2%였고 지난해는 19.4%로 자연유산율이 최근 3년간 0.4%p 증가했으며, 이는 5명 중 1명꼴로 유산하는 셈이다.
연령별 자연유산율을 보면, 40대이상 임산부의 유산율이 5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9세 이하 임산부 유산율이 38.4%였으며, 30대 19.4%, 20대 17.8% 등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출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0·30대 임산부의 자연유산율이 2007년 36.4%에서 지난해는 37.2%로 증가했다. 이는 우리나라 젊은 여성들의 건강수준이 나빠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다.
실제로 최근 3년간 합계출산율과 자연유산율을 비교하면, 합계출산율은 2007년부터 감소 추세를 보인 반면, 자연유산율은 0.7%p 늘어났다.
자치단체별로는 광주시가 23.1%로 가장 높고, 이어 강원(22.3%), 대전(21.7%), 충남(21.5%), 전남·경북(21.3%), 충북(21.1%) 등 순이었으며, 경기도(19.4%)는 전체 13위, 인천(19.0%)은 15위를 차지했다.
특히 동두천시는 유산율이 26.9%로 전국 지자체중 12위, 도내에선 1위를 기록했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