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경찰관’ 10명 중 8명 지구대 근무

각종 유흥업소 직접 단속… 유착 가능성 높아

비위나 도박, 직무 태만 등의 결격 사유로 특별관리를 받는 경찰관 상당수가 일반인과 접촉이 많은 지구대에 근무해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욱이 지구대 경찰관들은 각종 유흥업소 등을 직접적으로 단속하고 있어 관리대상 직원들의 경우 이들 업소들과의 유착 가능성도 높다고 지적됐다.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한나라당 임동규 의원이 경찰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말 현재 전국 관리대상 경찰관은 920명으로 지난해 8월 집계한 870명보다 5.7% 늘어났다.

 

특히 이들 관리대상 경찰관의 근무부서는 지구대가 757명(82.3%)으로 가장 많았고, 수사 60명(6.5%), 경비 33명(3.6%), 교통 24명(2.6%) 등이다.

 

특별관리 원인별로는 채무 과다가 202명(22.0%), 도덕성 결여 199명(21.6%), 비리 177명(19.2%), 직무태만 127명(13.8%), 도박성향 21명(2.3%) 순이다.

 

계급별로는 근무경력이 오래된 경사들이 530명(57.6%)으로 가장 많았으며 간부인 경위 225명(24.5%), 경장 123명(13.4%), 순경 33명(3.6%), 경감 5명(0.5%), 경정 4명(0.4%)으로 확인됐다.

 

경기지방경찰청의 관리대상 직원은 지난해 155명에서 193명으로 늘어나 서울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고 경남 76명, 경북 56명, 인천 55명, 전남 55명 등으로 나타났다.

 

임 의원은 “지구대는 시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곳이며 근무자에게 실탄이 든 권총까지 지급되기 때문에 관리대상자가 자칫 자기 절제를 못하면 시민이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고, 단속 대상인 유흥업소와 유착할 가능성도 크다”고 지적했다.  최원재기자 chwj74@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