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시장 개입 어려워… 열무 등 대체작물·김장용배추 조기 출하 안간힘
배추가격 폭등으로 정부가 중국산 배추를 무관세 수입하고 서울시는 30만포기를 시중가의 70% 공급 등 대책을 내놓은 가운데 경기도가 도 차원의 뾰족한 해법을 찾는데 고심하고 있다.
정부나 서울시와 달리 경기도 차원에서 시장에 개입하는 등 해법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는 유통 및 출하시기를 조정하는 등의 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4일 도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도내 주요 농산물유통센터의 배추 1포기당 소매가는 1만2천원에 달했으며 지난 1일부터 8천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도는 이 같은 가격이 이달 중순까지 이어지다가 충북과 경북 산간지방의 준고랭지 채소가 출하되는 이달말께 5천∼6천원 선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가격이 내려가도 지난해의 2∼3배 수준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도는 정부 및 서울시와 달리 배추 공급 등의 대책을 마련할 수 없는 만큼 나름대로의 해법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를 위해 도는 우선 고양과 남양주, 양주, 하남 등에서 배추 대체작물로 심은 얼갈이배추와 열무 등을 이달 중 조기 출하하고 지역 농협작목반에 출하시기를 각각 조절하도록 지시했다. 지난 8월 말께 심은 도내 대체작물은 500ha에 1천600t 가량으로 도는 배추값 안정에 어느 정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도는 또 가을 김장용배추의 출하를 1주일 가량 앞당기기 위해 1ha당 9만원을 지원해 영양제를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 경우, 도내 김장용배추는 1천823ha에서 16만t이 생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도는 매주 토요일 도청 운동장에서 열리는 토요장터에서 시중가보다 20% 저렴한 가격에 배추 2천포기를 판매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서울시의 경우, 산하 가락동농수산물공사의 유통적립금을 통해 배추를 싼 가격에 공급하지만 경기도는 시장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해 고민 중”이라며 “도 차원에서 농가의 출하시기 조절 지도에 나서는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식기자 dsk@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