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평택지원특별법’ 무시한채 통합이전 미뤄 장애인단체 “전문교육 확대 기회 박탈” 불만 높아 평택 주민들 “무산땐 지역 경제 도산 위기” 반발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추진하던 공주대와 한국재활복지대(이하 재복대)의 통합 평택이전이 정부의 비협조로 무산될 위기를 맞자 평택시민과 장애인단체 등이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보상 차원에서 고덕국제신도시 건설과 10만명 이상의 미군 및 미군 관계자 유입 등으로 인한 평택경제 활성화를 내세웠다.
그러나 현재 고덕국제신도시는 사업조차 불투명한 상태이고, 미군 및 미군 관계자 등의 유입 인원은 1만명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평택경제가 도산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따라 각계 전문가들은 평택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구유입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평택지역 주민들은 인구유입 방안의 하나로 공주대와 재복대 통합 평택이전이 위기에 빠진 평택지역에 다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 교육부가 평택지원특별법을 무시한 채 공주대·재복대 통합 평택이전을 미루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평택지역 주민들은 또 다시 정부가 평택을 외면하고 있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는 평온하던 도·농복합도시인 평택시에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정부의 청사진이 시간이 흐를수록 평택경제를 끝없는 나락으로 추락시키는 결과를 가져 왔다는 불만이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평택지역 장애인단체 등은 인구 유입 방안의 하나이자 장애인 및 노인, 사회적 약자를 위한 거점대학 유치 희망인 공주대·재복대 통합 평택이전이 무산 위기를 맞으면서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재복대의 경우 정부가 국내 최초로 장애인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설립했지만 2년제의 수업 연한에 11개 전공 과정만 운영하고 있어 관리직이나 다양한 전문직을 원하는 장애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장애인단체 등은 정부의 장애인을 위해 장애인 특례입학제도 시행에도 불구하고 학습지원 등의 미흡으로 40%에 육박하는 학생들이 중도에 자퇴하거나 휴학을 하고 있고, 졸업자들은 취업 및 진로지도 미흡 등으로 취업률이 23%대에 그치고 있는 만큼 공주대와 재복대의 통합이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장애인단체 등은 “공주대와 재복대가 통합돼 평택으로 이전할 경우 장애인 거점대학으로의 육성이 가능하고,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한 복수전공 등으로 다양한 전문교육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 장애인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장애인단체의 한 관계자는 “공주대·재복대 통합시 장애인 고등교육 기회가 실질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2년제 과정으로 운영되는 재복대는 장애인들로부터도 외면받고 있는 만큼 장애인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공주대와 재복대를 통합해 특성화된 단과대학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공주대와 재복대는 지난 2009년 장애인들의 고등교육 질적 제고를 위한 MOU를 맺은 뒤 통합에 따른 구성원들의 찬반투표 결과를 토대로 지난 4월 양 대학 공동명의로 교과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