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노후·늑장대응이 水害 키워”

광명·구리·부천 주민들 “펌프장 등 제때 가동 안돼… 인재” 반발

추석연휴 물폭탄으로 인해 침수피해를 당한 부천, 광명, 구리, 여주 등 도내 곳곳의 주민들이 관청의 잘못된 대응으로 피해를 키웠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광명시 광명 2~5동 등 상습 침수지역 주민들은 “지난 21일 오후 3시20분께 집밖에서 밀려드는 빗물과 사투를 벌이던 중 배수펌프장이 제때 가동하지 않아 집안의 하수구가 역류하면서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 지역은 이번 집중호우로 1천여가구가 침수 피해를 입었다.

 

추석연휴 내린 집중호우로 137가구 침수피해를 입은 구리시 수택동 지역 주민들은 “지난 2003년(시간당 70㎜)에 이미 침수피해가 일어났는데도 똑같은 일이 반복됐다”며 “그동안 사전 예방대책 등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는 등 주민 피해를 사실상 방치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집중호우 상황에서 양수기 등 각종 장비를 제때 지원하지 않아 피해를 가중시켰다고 질타했다.

 

또 200억원대의 재산피해를 낸 부천시 오정구 생활용품도매단지 침수사고도 인재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체들은 “오정구 지역에 시간 당 86㎜의 집중호우가 내린 것은 어쩔 수 없었으나 지난 2008년 시가 오정물류단지 조성을 위해 유수지 역할을 하던 농경지 9만9천여㎡를 5m 높이로 매립한 것이 침수피해를 키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여기에 ‘내동 빗물펌프장’이 과부하가 걸려 가동이 멈춘데다 굴포천 방수로의 밀물시간대와 맞물린 가운데 담당 공무원이 수문을 늦게 열어 더 큰 피해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남한강 지천인 여주 연양천 신진교가 지난 21일 집중호우로 교각 일부가 주저앉자 환경단체들이 3.5t 이상의 통행금지에도 불구하고 4대강 공사차량들이 무리하게 통행한 것이 붕괴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하는 등 갑작스런 폭우와 관련한 관청의 부실한 대응에 대한 반발이 커지고 있다.지방종합

 

여주읍 신진리 연양천에 설치된 신진교 교각이 지난 21일 내린 집중호우로 다리 상판이 무너져 내렸다.

지방종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