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CNG버스 특별 안전점검 현장 가보니…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장지동의 송파공영차고지.
부근의 5개 버스회사 소속 CNG(압축천연가스)버스들이 '특별 안전점검'을 받고 있었다.
행당동 CNG버스 폭발사고 이후 서울시가 7,000여대에 이르는 관내 CNG버스의 안전에 대해 전수조사를 하기로 한데 따른 것이다.
그런데 희한한 건, CNG 버스들이 받고 있는 '특별' 안전점검은 평상시 버스회사들이 일주일에 두 차례씩 자사 버스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하는 '일반'검사와 다르지 않다는 점.
똑같은 정비사가 똑같은 도구를 이용해 가스용기의 가스누출 여부를 검사했다.
용기의 설치 상태, 부식, 긁힘 등은 육안으로 검사했다.
버스를 정비한 한 버스회사 정비차장 정모(52)씨도 "평소에 우리가 하는 검사랑 똑같다. 정부에서 나와서 한다는 것만 다르다"라며 고개를 갸웃거렸다.
정씨가 말한 '정부'란 이날 특별점검 현장에 나온 6명의 합동점검반 인원을 말한다.
이들은 서울시, 한국가스안전공사, 소방재난본부, 교통안전공단 등에서 나온 차출된 인원들로 구성돼 있어 마치 '합동'으로 정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1명이 1대씩 나눠서 각자가 맡은 버스의 점검을 감독할 뿐이었다.
그동안 일상적으로 해왔고 앞으로도 할 점검을 굳이 이번에 또다시 하고 있는 이유는 뭘까?
서울시 관계자는 "현장의 일반점검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점검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항변했다.
그는 이어 "정부주도로 하는 만큼 공영차고지나 일반회사정비소보다는 철저하게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철저히 하고 있다는 그의 말은 믿기 어려웠다.
이날 합동점검반이 송파공영차고지와 인근 장지공영차고지 2곳에서 특별점검을 받아야 했던 버스는 모두 185대.
점검 과정을 측정해 보니 5분에 한 대꼴로 '특별점검'을 마치고 있었다.
특히 40여일간 진행되는 점검이다 보니 매일 할당된 점검량이 정해져 있어 합동점검반원들이 "더디니까 좀 더 빨리하죠"라며 재촉을 하기도 했다.
'특별' 점검이 전시용 점검이라는 생각을 들게 하는 대목이다.
이 같은 점검 방식을 전해들은 한국기계연구소 정동수 연구원은 "점검은 계속 했다는데 사고가 난다는 건 점검의 수준이 낮다는 것"이라며 "탈착을 해서 다시 점검을 한다 던지 해야지 비슷한 방식으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경북대 기계공학과 김철 교수는 용기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 같은 장비 사용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가는 철사도 어린 애가 수십 번 굽혔다 폈다 하면 부러지듯 가스가 들어갔다 빠져 나갔다를 반복하면 비슷한 원리로 용기 벽에 눈에는 보이지 않는 작은 결함들이 생긴다"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엑스레이나 초음파 같은 장비를 사용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우버스 기술연구소 이호권 연구원도 "용기 자체의 결함은 현재의 방식으로는 찾아내기 힘들다"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하나마나한 전수 조사는 한편으로는 시민들의 CNG버스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차원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임시방편식 전시행정으로는 오히려 시민들의 분노만 자극할 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