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공간 질식사고 잇따라

건설현장 등서 올들어 5명 숨져… 기온 높은 여름철 특히 조심해야

경기지역 대형 건설현장 등 밀폐공간에서의 질식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기남부지도원 등에 따르면 경기지역 내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사고는 지난 2008년 2건(2명 사망)에서 2009년 2건(3명 사망)이었으나 올들어 최근까지 3건(추정)이 발생해 5명이 사망했다.

 

지난 28일 오후 6시35분께 용인시 기흥구 D아파트 공사현장에서 배수작업을 벌이기 위해 맨홀 안으로 들어간 용인소방서 소속 이모 소방장(38)이 배수펌프 가동으로 인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7m 높이의 사다리에서 추락,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의식불명 상태다.

 

또 이를 구조하기 위해 맨홀로 들어간 수원소방서 소속 송모 소방장(45)도 맨홀 안에서 일산화탄소에 중독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에 앞서 지난 16일 오전 11시16분께 용인시 수지구 G아파트 공사현장에서 지하 정화조 청소작업을 벌이던 박모씨(42)가 내부에서 발생한 유독가스에 질식해 숨졌다.

 

이와 함께 지난 5월에는 평택의 한 양돈장에서 오수관로 청소 작업을 벌이던 4명의 작업자가 유독가스에 질식해 모두 숨지는 등 밀폐공간에서의 질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밀폐공간에서의 질식 사고는 기온이 높은 밀폐공간에서 미생물이 단기간에 쉽게 번식해 유해가스가 발생하고 산소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경기남부지도원은 밀폐공간 작업시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환기를 실시해야 하며 재해자가 발생할 경우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한 뒤 구조에 나설 것을 당부했다.

 

경기남부지도원 관계자는 “밀폐공간에서의 질식 사고는 특히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며 “밀폐공간 작업시에는 반드시 안전작업절차를 준수해 작업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용진·권혁준기자 khj@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