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텍, 인공지능 감시카메라 개발

'무단방치·도난 물체 검출 기술', 도난 사고 예방·용의자 검거 등 큰 역할 할 듯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테러나 절도 같은 범죄부터 쓰레기 무단 투기 등 경범죄까지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가포스텍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포스텍은 26일 컴퓨터공학과 김대진 교수팀이 지하철역과 공항 같은 공공장소에 무단 방치된 물건을 발견하거나, 공공장소에서 일어나는 도난 사고를 자동으로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하철이나 공항의 테러나 수화물 도난 등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용의자를 빠른 시간 안에 검거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 기술은 군사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지뢰와 폭탄은 물론, 매복까지 검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내년에 상용화돼 제품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김 교수팀이 발표한 '무단방치·도난 물체 검출 기술'은 입력돼 있는 영상에서 기존과 다른 ‘전경영역’을 검출하고, 그 중 움직임의 변화가 없는 정지영역만을 가려낸 다음, 정지 영역 속 물체가 방치된 물체인지 도난된 물체인지를 판단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감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먼저 최대한 많은 정지 영역을 찾은 다음, 다른 이동 물체에 가려진 정도, 색상 정보 차이의 정도, 2차 움직임 등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정지영역을 찾는 단계적(coarse-to-fine)선택 전략을 이용하고 있다.

 

김대진 교수는 "이번에 발표한 기술은 이미 상용화된 미국 기술에 비해 성공률을 평균 20% 이상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오작동률 역시 15% 이상 낮췄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현재 이 기술은 고정된 감시 카메라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후속 연구를 통해 움직이는 능동 카메라나 모바일 감시 로봇 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보다 넓은 지역에 대한 감시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