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단일화’ 선거 변수 부상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가 13일 민주당 김진표 후보를 제치고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경기도내 6·2지방선거가 새로운 변수로 부상했다.
경기지사 선거는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의 아성이 견고하지만, ‘유-김’ 후보 등 두 ‘친노무현(친노)’ 후보간 ‘후보 단일화’ 효과가 선거판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두 후보의 단일화가 이뤄져도 한나라당 김 후보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야권에선 험난한 단일화 과정을 거친 만큼 두 후보의 극적 단일화가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시민 단일후보의 효과에 대해 회의적 반응도 적지 않다.
1번 한나라당, 2번 민주당 등 기호별로 기초단체장부터 지방의원까지 ‘줄투표’를 하는 지방선거의 투표 성향으로 볼 때 기호9번 유시민 후보가 민주당 지지자들을 얼마나 끌어낼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다. 조직력이 약한 국민참여당이 경기도에서 기호 2번을 달지 않고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와 맞대결을 벌이기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또 유 후보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경호실장’으로 불렸던 친노(親盧) 핵심인사라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어 지지층에 한계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일고 있다.
하지만 유 후보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 이어 대권후보 2위로 거론되는 위상을 갖고 있는 점으로 볼 때 파괴력은 ‘태풍’이 될 지 ‘찻잔 속의 미풍’으로 그칠 지 섣불리 가늠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김 후보 캠프는 기존 선거대책 구상에 대한 전면 개편이 불가피해졌다. 제1 야당후보와의 대결을 준비해 온 선거방향에 수정이 불가피해 선거진용을 새롭게 개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김 후보측은 바람처럼 떠다니는 후보의 한계가 있는 만큼 행정경험을 바탕으로 정책선거로 승부를 벌인다는 계획이다. 유권자들이 철새 대신 우직하고 부지런한 개미후보, 발로 뛰는 서민후보 김문수를 선택할 것이라는 분석 속에 시민들 속으로 파고드는 선거운동을 벌일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강해인기자 hikang@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