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경선방식·선정 놓고 도당, 중앙당에 불편한 심기 도당 공심위 구성도 딴목소리
민주당이 6·2지방선거 공천 및 경선 방식 등을 놓고 내부 파열음을 내고 있다.
4일 민주당 경기도당 등에 따르면 도당과 일부 후보는 천안함 침몰 사건으로 경기지사 경선이 잠정 유보된 가운데 경선 방식 선정과 관련, 중앙당에 대해 내심 불편한 심기를 보이고 있다.
도당은 경기지사 경선이 중앙당 소관이라며 애써 이 문제에 대해 외면하면서도 경기도의 수장을 뽑는 선거와 관련, 중앙당과의 정보 공유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중앙당은 지난달 22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경기지사 선거 후보자와 경선방법을 최종 의결하고, 국민여론조사 50%, 당원선거인단 투표 50%(4천342명)의 방식으로 진행키로 했다.
하지만 중앙당은 경선일까지 선거인단을 공개하지 않기로 하는 한편 당헌·당규에 적시돼 있는 유권자의 수(최대 1만8천여명)도 4천여명의 줄였지만 장소에 따른 인원 축소라고만 설명,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도당과 후보자에게까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앞서 도당과 중앙당은 지난달 도당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을 놓고도 각기 다른 목소리를 내 마찰을 빚었다.
도당이 공심위 위원으로 추천한 인물에 대해 중앙당이 거부 의사를 밝혀 당초 15인 위원회를 14인 위원회로 축소 통과시켰다.
이 문제를 놓고 특정 지역에 공천 신청자들을 놓고 중앙당과 도당이 지원(?)하는 후보가 각각 달라 중앙당이 공심위 위원을 배제했다는 주장까지 제기돼 도당과 중앙당의 마찰은 깊어지는 듯 했다.
하지만 중앙당이 도당의 입장을 받아 들여 이 문제는 하루만에 해프닝으로 끝났지만 이달 중으로 마무리될 각 지역 단체장 공천 과정에서의 전략 공천에 따라 도당 공심위와 중앙당간의 입장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도당 관계자는 “공천 신청이던 경기지사 경선이던 중앙당 최고위의 재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도당과 중앙당간의 마찰이 있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면서 “그러나 선거와 관련된 각 과정에서 도당과 중앙당이 유기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규태기자 kkt@ekgib.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