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의원 정수 논란’ 정치권 대응 본격화

여야도당, 국회 정개특위에 인구증감 반영 재조정 요청

<속보>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인구 증가에도 불구, 경기도내 일부지역에서 기초의원 정수가 줄어들면서(본보 22일자 1면) 지역정치권의 대응이 본격화됐다.

 

24일 도와 각 당 경기도당에 따르면 ‘도 시·군의원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지난 20일 오후 회의를 열고 31개 시·군 의회별 의정정수 조정안을 마련했다.

 

지난해 말께 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광역의원 정수가 늘어난 반면 기초의원 정수는 417명으로 유지됐기 때문이다. 이 결과, 용인시와 화성시, 파주시의 기초의원수가 5명과 6명, 1명씩 늘어난 반면 수원시와 성남시, 고양시, 평택시 등 9개 시의 의원 정수를 1~2명씩 줄게 됐다.

 

이런 가운데 각 정당들이 기초의원 정수 동결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한나라당 경기도당은 지난 21일 ‘기초의원 정수 감축은 불합리하다’는 방침을 세웠다.

 

도당은 다음달 열리는 임시국회에서 정개특위 논의를 거쳐 도내에서 감축된 기초의원 정수 12명을 늘려 달라는 건의문을 중앙당에 제출했으며 원유철 도당 위원장도 당 정치선진화특위 위원장인 허태열 최고위원에게 협조를 부탁한 상태다.

 

민주당도 선거구 획정에 대해 반응을 자제하면서도 인구 증감이 반영되지 않은 현재 기초의원 정수에 대해선 도내 국회의원, 광역 및 기초의회 등과 협의를 거쳐 국회 정개특위에 재조정을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민주당 도당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것을 논의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인구 증감 부분을 재반영해야 한다는데에는 공감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조만간 대응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민노당 경기도당은 ‘정수 조정에 따라 일부지역의 2인 선거구 전환은 기존 소선거구제의 일방적·기계적 조합’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25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선거구 획정 반대 기자회견을 갖는 등 선거구 조정을 요구해 나가기로 했다.

 

/김동식·김규태기자 dsk@ekgib.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