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매월 꾸준히 상승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19일 인천항만공사(IPA)에 따르면 지난달 한달 동안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13만7천621TEU(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를 기록하며 지난 8월 12만8천791TEU보다 8천830TEU로 6.9% 증가했다.
컨테이너 물동량은 올해 1월 9만3천280TEU의 초라한 성적으로 출발, 2월 8만4천734TEU를 기록하며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3월 들어 11만9천240TEU를 보이며 10만TEU를 훌쩍 넘어섰다.
이후 4월 12만4천956TEU, 5월 13만355TEU, 6월 13만3천786TEU, 7월 13만4천759TEU 등으로 매월 상승세를 이어갔다.
IPA, 25억 인센티브 추진 등 공격적 마케팅
‘컨 물동량 증가세 계속… 9월 전월比 6.9%↑
IPA는 지난해 시작된 경기 침체로 컨테이너 화물들이 크게 줄었지만 지속적인 물동량 유치 노력과 고객서비스 제공 등으로 빠르게 회복세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했다.
IPA는 그동안 업계와의 고통 분담차원에서 항만시설 사용료 및 항만부지 임대료 감면정책을 수립하는 등 78억원을 항만·물류업계에 지원했고, 인천항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인천시와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인 25억원(IPA 15억원 인천시 10억원)의 인센티브 지급도 추진했다.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지리적 장점을 살린 해·공복합운송 활성화로 신규 물동량을 창출하고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원양항로 5개 노선(동남아 4개 노선, 아프리카 1개 노선)들을 신규로 유치했다.
IPA 관계자는 “인천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생산유발효과 12조5천680억원(인천 총생산 대비 33.3%), 부가가치유발 효과 4조8천919억원, 취업유발효과 10만3천618명 등으로 나타났다”며 “인천항 체력을 평가하는 중요 잣대인 컨테이너 물동량이 꾸준히 상승한다는 건 지역경제도 서서히 회복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