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군주’ 정조를 만나다

조선의 문예군주 정조. 그는 어떤 예술적 자취를 남겼을까. 수원화성박물관은 정조의 예술적 성향과 과정을 총체적으로 다룬 기획전을 마련했다.

정조는 세자시절부터 꾸준히 수련한 시·서·화 작품을 남겼고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김홍도와 신윤복과 같은 화가를 후원하기도 했다. 정조에게 문예는 신하들과 함께 백성을 다스리는 또 하나의 방법이었다. 신하들과 시를 지으며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자신의 뜻을 편지에 담아 마음을 나눴다. 또한 바른 정치로 백성들의 삶을 살피려는 어진 마음도 작품 곳곳에 남아 있다.

전시는 정조의 예술세계가 탄생하는 계기와 과정을 다섯 파트로 나눴다. 먼저 ‘홀로서다-기원(起源)’은 정조실록을 토대로 어린시절 학문과 효성에 초점을 맞췄다. 효성이 지극한 정조의 흔적은 ‘혜경궁 읍혈록’에 잘 나타나며, 정조의 어린시절 글씨모음, 한글편지, 12세때 쓴 어필도 선보인다.

‘뿌리를 기억하다-효친’ 코너는 정조의 다양한 글씨를 감상할 수 있다. 정조는 능원비와 사적비에 많은 글을 남겼는데 그 중 경모궁 편액은 정조가 즉위하던 1776년 사도세자의 사당인 경모궁에 걸었다. 또 사도세자의 글씨를 앞면에 새기고 뒷면에 자신의 글을 남긴 ‘무안왕묘비’는 힘차고 장중한 필체가 인상적이다.

이어 ‘사람과 함께하다-치인(治人)’은 정조의 위민정신을 강조했다. 신하들과 왕실 및 조정의 중대사를 나눈 시문과 지방으로 떠나는 신하를 불러 민생을 당부한 글을 내리기도 했다. 특히 채제공과 조심태, 김종수 등에게 내린 글은 아랫사람을 진심과 성의로 대하는 정조의 마음도 엿보인다.

이밖에 책과 함께 한 정조의 흔적으로 ‘춘추를 완독한 날 지은 글’에서 책 읽는 즐거움이 진하게 묻어 있고, 아들 문효세자 교육을 위해 지은 중희당 편액도 눈길을 끈다. 그림에도 일가를 이뤘던 정조의 파초도와 국화도를 직접 감상할 수 있고 잘 알려지지 않았던 추풍명안도와 사군자도 선보인다.

한편 전시장에는 영상코너를 마련해 정조시대 화가인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 등의 작품을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다.

김준혁 학예팀장은 “그 동안 정조의 예술과 관련된 전시는 특정 주제로 진행됐다”며 “이번 기획전은 정조의 예술세계 전반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했다.

전시는 6일부터 2개월간 열리며 글씨와 그림 50여점을 감상할 수 있다. 문의 (031)228-4204

/이형복기자 bo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