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뉴시스】
"젊고 새로운 영화감독과 영화를 발굴하고 발견하는 전주영화제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겠다."
올해로 10회를 맞아 내달 30일부터 5월8일까지 열리는 전주국제영화제의 상영작 발표가 진행된 가운데 정수완 수석 프로그래머는 이번 영화제의 특징을 "발굴과 발견, 관객과 함께 배우는 영화제"로 정리했다.
정 수석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영화제에서는 전세계 신인감독의 발굴에 초점을 맞췄다"라며 "이를 위해 어느때보다 많은 수의 젊고 새로운 영화들을 초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주영화제를 통해 배출한 감독들인 아피찻퐁 위라세타쿤과 왕빙, 스와 노부히로, 아먀시타 노부히로, 장률, 리산드로 알란조, 브릴란테 멘도자, 류승완 등은 이제 명실상부 각국을 대표하는 감독들이 돼 있다"면서 "이는 전주영화제가 표방하는 독립영화의 발굴과 신예 감독들의 발견의 성과다"고 평했다.
그는 특히 "이번 영화제가 10년째 들어서면서 한국영화의 과거를 기억하기 위한 한국영화 회고전을 부활시킨다"라며 "올해까지 발굴되고 복원된 양주남 감독의 1936년작 '미몽'과 김기영 감독의 1960년작 '하녀', 신상옥 감독의 1962년작 '열녀문', 이두용 감독의 1980년작 '최후의 증인'이 상영된다"고 설명했다.
또 특별전으로 스리랑카 영화가 '쿠바'와 '마그렙', 소비에트 연방', '터키'영화에 이어 마련됐다.
정 수석은 "비 서구 지역의 숨겨진 영화 발굴을 위한 노력이 이번 영화제에서도 이어진다"면서 "스리랑카 영화는 오랜 내전과 역사, 종교적 갈등, 식민지 역사에 대한 진솔한 사연이 숨겨져 있는 만큼 이 시대를 반영한 1974년에서 2005년 사이에 제작된 영화 12편이 소개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영화들에 대한 관객들의 접근과 소통, 이해가 어려운만큼 시네토크와 대담과 강연 프로그램이 마련된다"고 말했다.
한편 동국대 영상대학원 영화영상학과 조교수인 정 수석은 지난 2000년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일본 영화 코디를 맡아 영화제에 참여한 이후 4회 때 프로그래머를 맡은 뒤 8회부터 수석 프로그래머로 영화제를 기획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