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디지털 시대에 영화의 유통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이고 열려 있는 플랫폼을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심현보 오리콘CNS 팀장은 10일 영화진흥위원회(이하 영진위)의 한국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3번째 포럼 '멀티플랫폼 콘텐츠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발제문 '디지털 유통구조 개선안'을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심 팀장은 "2003~2006년 홈비디오 시장은 4천억원, 인터넷 VOD 시장은 500억원 감소했지만 웹하드 시장은 올해 5천400억원 규모"라며 "불법 웹하드에는 제재를 가하고 합법 사업자들에 정당한 기회를 주려면 현실적이고 유연한 배급 정책과 시장내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디지털 유통 배급 방식에서 "인코딩ㆍ동영상 파일과 정산 시스템, 마케팅 데이터, 상영 시스템 등을 제공하는 '통합ㆍ오픈 플랫폼'을 영진위가 자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가 중앙 관리 시스템 격인 통합ㆍ오픈 플랫폼을 통해 영화를 등록하면 플랫폼에서 서비스업자에 시스템과 영화를 제공하고 이들로부터 받은 수수료를 정산해 저작권자에게 정당한 수익을 준다는 모델이다.
영진위 영상산업정책연구소 김현정 책임연구원은 '영상산업 환경변화' 발제문에서 극장 개봉과 부가시장 공개 사이의 기간차인 '홀드백' 순서와 기간 단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극장 종영일을 "개봉관수가 초기의 3% 또는 10개관 미만으로 떨어지는 날"로 잡을 것을 제안했다.
김 책임연구원은 또 명확한 개념 정립 없이 단매 방식으로 이뤄지는 판권계약 방식이 포괄적인 내용으로 분쟁의 소지가 있다면서 "저작권자가 부가시장에 대한 저작권을 양도하는 방식보다는 이용 허락 계약의 개념을 확립하고 VOD 배급도 극장과 동일하게 수익배분 방식을 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상오 싸이더스FNH 제작본부 이사는 '멀티플랫폼 콘텐츠의 비즈니스 모델' 발제문에서 현재까지 제작된 IPTV 영화 4편을 소개하면서 "기획의도와 달리 IPTV의 솔루션 특성인 양방향성이 반영된 영화는 1편뿐이며 극장 개봉영화 대비 수익성에 대한 동기 부여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양하고 새로운 IPTV 전용 콘텐츠를 확보해야 하고 기술적 솔루션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IPTV뿐 아니라 타사업자의 지속적 투자와 콘텐츠의 질적 향상, 각 플랫폼 사업자간의 홀드백 합의 및 마케팅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영상산업정책연구소 조사 결과 영화 불법시장 규모(2006년 기준)는 6천90억원이며 불법으로 인한 합법 영화시장 피해 규모는 3천390억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