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문화재단 3대 사장 연임된 이종덕 상임이사

“입장권 거품빼고 공연장 문턱 낮출 것”

“현재에 안주하지 않고 보다 나은 미래를 향해 전진해 나가겠습니다.”

성남문화재단 3대 사장에 연임된 현 이종덕 상임이사는 4대 발전전략을 제시하며 이같이 말했다.

“우리 성남문화재단은 우선 지역밀착형 공연장으로 거듭나야 합니다. 시민과 지역사회가 함께 호흡하고 도시 브랜드 이미지를 한 층 더 높이기 위해 화제의 공연들을 무대에 올릴 것입니다.”

이 사장은 이를 위해 성남시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각을 통한 시나리오로 구성된 대하 창작뮤지컬 ‘남한산성’을 내년 10월 초연, 성남시민의 자긍심을 심어줄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기획공연 일부 입장료 전석 1만원, 문화소외계층 무료 관람 등 ‘문화공헌석’제도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그가 말하는 두번째 전략은 ‘경영의 혁신을 통해 자립초석 마련’이다. “조직의 창조 경영을 위해 ‘미래를 성공으로 이끌 세 가지 마인드, 칩(CIP) 운동’을 전개 할 것”이라며 “아이디어를 얻는 능력을 키워나가는 창의성(Creative) 운동, 아이디어를 현실에서 집행해 나가는 주도력(Initiative) 운동, 가능·불가능을 나누지 않고 일하는 열정(Passion) 운동”이라고 설명했다.

세번째 전략은 ‘각종 규제 철폐와 절차의 간소화로 내 집처럼 이용하는 아트센터’ 표방이다.

“우리의 문화예술은 보수적인 요소가 아직도 많아 다양한 채널에서 쏟아지는 수요자의 요구를 맞춰주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며 “하드웨어 보강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공연장과 문화예술행정의 문턱을 낮추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사장은 ‘성남탄천페스티벌의 재창조’를 마지막 전략으로 삼았다.

“성남탄천페스티벌은 지역밀착형 공연장의 컨셉에 맞춰 보다 더 시민친화적인 축제로, 새로운 축제를 만든다는 심정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며 “가장 성남적이면서도 특색 있는 축제, 수요자 중심의 축제, 가족단위로 놀러올 수 있는 축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대명제하에 마스터플랜을 새롭게 짤 것”이라고 강조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