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고향역'(나훈아),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하수영), '옥경이'(태진아) 등 주옥 같은 곡으로 국민의 사랑을 받아 온 작곡가 임종수(66) 씨가 대학 강단에 섰다.
충북 청원군 강내면 충청대학은 40여년 동안 300여편의 곡을 만들어 온 임씨를 최근 음악과 트로트(대중가요) 전공 초빙교수로 임용, 이번 학기부터 실용음악이론과 싱어송라이트, 실용가창 등 3개 과목 강의를 맡겼다.
이 대학은 지난해 음악과를 개설한 데 이어 전국 대학 중 처음으로 올해부터 트로트 전공을 신설했다.
임씨는 "대중가요의 발전을 위해서는 재능있는 유소년 및 청소년들을 발굴, 조기교육을 해야 하나 우리의 대학들은 예체능을 중시하면서도 대중가요를 외면하고 있다"며 "작곡가 40년의 경험을 살려 우리나라 대중가요에 중추적 역할을 할 인재들을 발굴,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임씨는 어려서부터 작곡가보다는 가수가 되기를 원했다.
임씨는 고교를 졸업한 뒤 광주KBS와 전주KBS 전속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했으며 군에 입대해서도 가요 경연대회 등에 나가 상을 받는 등 가수의 꿈을 키워갔다.
그는 또 제대 후에는 '무너진 사랑탑', '열아홉 순정' 등을 작곡한 나화랑 씨로부터 곡을 받아 음반을 취입, 꿈에 그리던 가수로 데뷔했으나 당시에는 미8군의 영향으로 팝송이 유행하던 시절이라 음색과 창법이 맞지 않아 가수의 꿈을 접고 작곡가의 길로 들어서게 됐다.
그러나 작곡도 쉽지 않아 5년여 동안 허송세월을 한 임씨는 1972년 나훈아가 부른 '고향역'(오아시스레코드사)이 공전의 히트를 하면서 유명 작곡가 대열에 합류하게 됐고, 이후 1976년 '아내에게 바치는 노래', 1981년 '대동강 편지', 1989년 '옥경이', 1991년 '부초' 등을 잇달아 히트시키며 국내 대중가요계를 이끌어 왔다.
그는 "최근 대중가요에 대한 인식이 많이 좋아졌지만 아직 예전만 못하다"고 지적한후 "대중가요에 재능이 있는 젊은이들을 집중 육성하고 가요계에 변화를 주어야만 저급 문화로 전락한 우리 가요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바뀔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씨는 또 "충청대학이 대중가요 발전의 중심에 설 수 있도록 열정을 다해 후학 양성에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