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미국 영화 '데어 윌 비 블러드'는 국내에서 첫선을 보이기도 전에 언론 보도에 수없이 오르내리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유수의 영화제에서 준 각종 훈장을 주렁주렁 달고 왔기 때문이다.
올해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폴 토머스 앤더슨 감독이 감독상을 거머쥐었으며 주연배우 대니얼 데이 루이스는 골든글로브상과 미국배우조합상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미국 평단은 일제히 찬사를 보내고 있으며 미 언론도 24일(현지시간) 열리는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이 영화가 작품상과 감독상, 남우주연상을 받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점치고 있다.
영화를 보다 보면 미국 현지에서 왜 그렇게 떠들썩하게 이 영화에 주목했는지 금세 눈치챌 수 있다. 영화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미 서부 황무지에서 유전 개발에 나선 한 남자가 야망 끝에 성공을 거두지만 탐욕과 외로움 속에 몰락하게 되는 과정을 서사적으로 그린다.
희망, 믿음, 좌절, 배신, 갈등 등 인간의 내면에 스멀스멀 깃드는 희로애락을 샅샅이 파헤치면서도 미 유전 개발 역사, 또는 개척교회의 역사를 통해 미국인의 삶을 넓게 조망하는 이 영화에는 미국판 '인생극장' 수십 편이 한데 녹아 있다.
앞서 '매그놀리아' '부기나이트' 등을 선보였던 앤더슨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 다소 스타일을 바꿨다. 그는 여느 할리우드 상업영화와 다른 스타일을 택해 장대하고 진득한 시선으로 복합적인 인물과 척박한 풍경을 잡아낸다. 흙먼지가 날리는 황량한 풍광과 무엇엔가 사로잡힌 인물들의 표정, 스릴러에나 쓰일 법한 분위기의 배경음악은 기묘한 조화를 이룬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데이 루이스의 연기다. 야망에 넘치고 악랄하기도 하지만 심약하며 피해의식에 사로잡힌 주인공의 흥망성쇠를 그려 나가는 그의 연기는 스크린 속에서 말 그대로 작렬한다.
이 영화의 최대 약점은 상영시간이다. 한 사람의 굴곡 많은 인생을 닮기에 158분은 짧을지 몰라도 그걸 지켜봐야 하는 관객에게는 지나치게 긴 시간이다. 영리하고 효율적인 압축에 대한 아쉬움이 든다.
광부인 대니얼 플레인뷰(대니얼 데이 루이스)는 서부의 작은 도시에서 석유가 땅 밖으로 스며나오고 있다는 정보를 얻게 된다. 그는 석유를 찾기 위해 아들 H.W(딜런 프리지어)와 리틀 보스턴으로 향한다.
리틀 보스턴은 마을의 모든 중요한 일은 카리스마 넘치는 젊은 목사 엘라이 선데이(폴 라노)의 설교로 좌우되는 작고 척박한 마을이다. 대니얼은 석유가 나온다는 목장의 소유주인 선데이가와 맞딱뜨리게 된다.
대니얼은 리틀 보스턴에서 마침내 석유업자로 큰 성공을 거둔다. 그러나 승승장구하고 있던 어느 날 유정에서 난 가스 폭발 사고로 아들 H.W가 청각을 잃는다. 또 대니얼의 이복동생이라고 주장하는 한 남자(케빈 오코너)가 찾아온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