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발레단 ‘해설이 있는 발레 시리즈’ 14·15일 안양문예회관 7개 소품 공연
국립발레단 최고의 흥행 레퍼토리로 자리잡은 ‘해설이 있는 발레 시리즈’가 오는 14~15일 안양문예회관에서 감동의 무대를 이어간다.
이번 공연에서는 7개의 소품 공연을 옴니버스 형식으로 엮어 무대에 올린다.
소품 작품은 ‘돈키호테’ 3막 중 ‘그랑 파드되’, ‘지젤’ 2막 중 ‘파드되’, ‘카르미나 부라나’ 중 ‘술집에서’, ‘라 실피드’ 중 ‘파드되’, ‘파리의 불꽃 그랑 파드되’, 차이코프스키 ‘파드되’, ‘카라바야데어’ 중 북춤 등 옴니버스 소품 7편.
특히 기존 해설이 있는 발레 무대들이 대부분 유명 연예인들을 해설자로 초빙해 진행했던 방식에서 탈피, 국내 최고의 스타 발레리나인 국립발레단의 수석 무용수 김주원이 직접 해설을 맡아 생동감 있고 전문적인 해설발레의 진수를 보여준다.
해설을 맡은 김주원은 지난 97년 볼쇼이발레학교를 졸업한 뒤 지난 98년 국립발레단에 입단, 같은해 국립발레단 ‘해적’을 통해 주역으로 데뷔했으며 호소력 있는 연기와 아름다운 상체 라인 등 자신의 장점을 작품에서 최대한 발휘하는 발레리나로 알려져 있다. 4세 이상 입장 가능.
14일 오후 7시30분, 15일 오후 7시 안양문예회관 대공연장. R석 3만원, S석 2만5천원, A석 2만원. 문의(031)389-5200/이종현기자 major01@kgib.co.kr
파드되(Pas de deux) 와 그랑 파드되(Grand Pas de Deux)는?
발레에서 두 사람이 추는 춤으로 불어 파(Pas)는 스탭을 뜻하며 되(Deux)는 숫자 2로 파드되(Pas de deux)는 2인무, 트루와(Trois)는 숫자 3으로 파 드 트루와(Pas de Trois)는 3인무, 캬트르(Quatre)는 숫자 4로 파 드 캬트르(Pas de Quatre)는 4인무를 뜻한다.
그랑 파드되(Grand Pas de Deux)는 파드되 중에서도 다섯 단계로 나눠 남녀 무용수들의 화려한 기량과 파트너십을 발휘하는 것으로 안무가 프티파가 고전발레 양식을 확립하면서 만든 발레 형식이다. 진행 순서는 두 무용수가 입장해 인사하는 앙트레(Entree), 두 남녀가 느릿한 음악에 맞추어 추는 아다지오(Adagio), 남녀 무용수가 차례로 나와 각자 개인기를 보여주는 남자 바리아시옹(Variation Pour le Danseur)·여자 바리아시옹(Variation Pour la Danseuse), 두 남녀가 빠른 음악에 맞춰 최고의 기량을 펼치며 끝내는 알레그로 코다(Allegro Coda) 등이 있다. 우리가 흔히 그랑파, 또는 그랑 파드되라고 부르는 건 이 진행 절차를 따르는 2인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