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영화제는 한국 여배우를 좋아해∼!

“국제 영화제 주연상은 여배우들이 책임진다!”

그동안 한국 여배우들이 국제무대에서 인정받아온 경향이 이번 칸 영화제에서도 확인됐다. 국내 여배우 중에서 ‘씨받이’의 강수연이 1987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처음으로 세계 3대 영화제 여우주연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후 그는 ‘월드스타’라는 별칭과 함께 한국 영화계의 대표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강수연은 1989년에도 ‘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모스크바 영화제에서 영예를 안았다.

1988년에는 신혜수가 ‘아다다’로 몬트리올 영화제에서, 1993년에는 상하이 영화제에서 오정해가 ‘서편제’로 여우주연상을 거머쥐었다. 이들 작품은 모두 임권택 감독의 작품으로 임 감독은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자 제조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또 1990년에는 심혜진이 낭트영화제에서 박광수 감독의 ‘그들도 우리처럼’으로, 1991년에는 이혜숙이 몬트리올에서 장길수 감독의 ‘은마는 오지 않는다’로, 1994년 최명길이 김홍준 감독의 ‘장밋빛 인생’으로 낭트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각각 받았다.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여우주연상 수상 행진은 2001년 재개됐다. 김호정이 문승욱 감독의 ‘나비’로 로카르노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같은 해 서정이 김기덕 감독의 ‘섬’으로 판타스포르토 영화제에서, 다음해 장진영이 윤종찬 감독의 ‘소름’으로 같은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문소리는 2002년 이창동 감독의 ‘오아시스’로 베니스 영화제가 그해 신설한 신인배우상을 받은 데 이어 2003년 ‘바람난 가족’으로 스톡홀름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어 2004년에는 임수정이 김지운 감독의 ‘장화, 홍련’으로 판타스포르토 영화제에서, 2005년에는 이영애가 박찬욱 감독의 ‘친절한 금자씨’로 시체스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이에 반해 남우주연상은 1993년 윤삼육 감독의 ‘살어리랏다’로 모스크바에서 수상한 이덕화, 2000년 도빌 아시아영화제에서 이명세 감독의 ‘인정사정 볼 것 없다’로 수상한 박중훈, 2005년 뉴몬트리올 영화제에서 임태영 감독의 ‘안녕 형아’로 최연소 수상자가 된 박지빈, 2007년 판타스포르토 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의 ‘시간’으로 수상한 하정우 정도에 그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