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된 섬, 주민 17명, 그런데 자꾸만 사람이 죽는다…새영화 ‘극락도 살인사건’

고립된 장소에서 발생한 살인사건, 십여 명의 등장인물, 그 속에 살인범이 있을 수밖에 없는 상황, 계속되는 살인, 차례 차례 드러나는 등장 인물들의 비밀…. 애거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비롯해 추리 소설과 스릴러 영화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플롯이다. 물론 같은 설정이라고 해도 어떤 장소, 어떤 인물, 그리고 어떤 반전이냐에 따라 얼마든지 새로운 이야기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클리셰(반복)’라기보다는 고전이라고 해야 좋을 것이다. ‘극락도 살인사건’(감독 김한민, 제작 두엔터테인먼트)도 정확하게 이 플롯을 따른다. 클리셰로 치부되거나 고전의 새로운 해석으로 보여지거나, 두 갈래의 기로에서 시작하는 셈이다.

주민 17명이 사는 작은 섬 극락도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김노인의 칠순 잔치로 마을 전체가 떠들썩했던 다음날 아침, 합숙소에서 화투파을 벌였던 두 명의 송전기사가 시체로 발견된 것. 사람들은 함께 화투판에 있었던 마을 잡일꾼 덕수부터 의심하지만 그 역시 시체로 발견된다.

이후 의심은 보건소 소장 제우성(박해일), 마을 이장(최주봉), 지능이 약간 모자란 청년 춘배(성지루), 미녀 교사 귀남(박솔미) 등에게로 차례로 옮겨간다. 그런 가운데 춘배가 사건과 관련이 있는 듯한 쪽지를 발견하면서 사람들의 의심과 긴장은 극에 달한다.

영화는 나름대로 독특한 배경과 인물 설정 위에서 예측 불가능한 스릴러를 펼쳐보이려고 노력한다. 유심히 보면 초반부터 의심스러운 사람이 눈에 띄긴 하지만, 결말에 가서야 사건의 전말을 알 수 있게 공들인 흔적이 있다. 그러나 이야기를 펼칠 때에 비해 수습할 때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점은 문제다. 다 보고 나서 곰곰히 생각하면 아귀가 얼추 들어맞기는 하지만 영화 자체에서는 만족스러울 만큼의 설명을 얻을 수 없는 것.

영화사의 보도자료를 보면 시나리오 상에는 더 많은 이야기가 있었던 듯하다. 편집 과정에서 얼개가 엉성해진 모양인데 그렇다 해도 관객이 그 점을 참작하면서까지 영화를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12일 개봉.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