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들어 꾸준히 사랑받았던 '히트 드라마'엔 어떤 것들이 있을까.
2000년 1월1일부터 이달 26일까지의 드라마 평균 시청률을 분석한 TNS미디어코리아의 자료에 따르면 2003년 9월부터 6개월 넘게 방송됐던 MBC '대장금'이 41.6%로 가장 높은 평균 시청률을 기록했다.
2위는 SBS에서 2004년 여름 방송됐던 '파리의 연인'(41.5%)이 차지했고 종영을 앞두고 시청률 50% 벽을 다시 돌파한 MBC '주몽'은 40.6%의 평균 시청률로 3위에 올랐다.
2005년 여름 '삼순이' 돌풍을 일으켰던 MBC '내 이름은 김삼순'은 37.7%로 4위에 랭크됐고 KBS1 '태조 왕건'은 1년11개월에 이르는 긴 방송 기간에도 불구하고 37.3%의 평균 시청률을 유지해 5위에 이름을 올렸다.
2000년 초 인기를 끌었던 최지우ㆍ류시원 주연의 '진실'(MBC)과 최진실의 복귀작으로 관심을 모았던 KBS2 2005년작 '장밋빛 인생'이 각각 36.9%와 34.2%의 시청률로 6,7위에 올랐고 SBS 2003년작 '천국의 계단'이 33.9%로 뒤를 이었다.
SBS '올인'(2003년)과 SBS '명랑소녀 성공기'(2002년)는 나란히 33.7%로 10위권에 들었다.
10위권 밖에서는 일일 연속극이 강세를 보였다. MBC '인어아가씨'(32%ㆍ13위)와 KBS1 '별난 남자 별난 여자'(31.2%ㆍ15위), '열아홉 순정'(31.1%ㆍ16위), MBC '날마다 행복해'(30.7%ㆍ17위)로 네 편이 20위 안에 포함됐다.
흔히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가늠하는 데 최고 시청률을 사용하고 50% 벽을 넘을 경우 '국민드라마'로 칭하기도 하지만 평균 시청률은 드라마가 방송 기간 내내 꾸준히 높은 인기를 누렸는지를 비교할 수 있는 잣대가 된다.
'태조 왕건'의 경우 방송 기간이 2년에 달했는데도 37%대의 평균 시청률로 5위 안에 들었다는 것은 평균 두 달을 전후해 끝나는 미니시리즈와 견줬을 때 놀라운 수치. '대장금'과 '주몽' 역시 방송 기간이 각각 6개월과 9개월을 넘겼는데도 최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는 기록을 세웠다.
'주몽'은 순위권에 오른 다른 드라마와는 달리 종영을 앞둔 '현재진행형' 드라마이긴 하지만 2회 분량만을 남겨두고 있는 데다 결말에 대한 기대감에 시청률 상승세를 타고 있어 종영 이후에도 3위권의 순위는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TNS미디어코리아 차재웅 국장은 "최고 시청률은 드라마의 방송 횟수 가운데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것을 뜻하고 평균 시청률은 말 그대로 전체의 평균을 낸 시청률이기 때문에 평균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를 '히트작'이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방송 기간이 미니시리즈의 몇 배에 이르는 드라마의 경우 평균 시청률을 높게 유지한 드라마가 나오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