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욱 감독의 `싸이보그지만 괜찮아'가 베를린 영화제에서 특별상인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했다.
알프레드 바우어상은 독일 표현주의 영화기법을 정착시킨 촬영감독의 이름을 딴 상으로 베를린영화제 8대 본상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박찬욱 감독은 17일 밤(현지시간) 베를리날레 팔라스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이 상을 수상한 뒤 “이 영광을 아내와 함께 나누고 싶다. 이 상 수상으로 가정에 소홀했던 빚을 갚게 된 것 같다. 아내가 주변 사람들에게 이제 `내 남편은영화감독이지만 괜찮아'라고 말했으면 좋겠다”고 말해 큰 박수를 받았다.
박 감독은 “이 영화에서 자신을 사이보그라고 생각하는 극단적인 정신병 환자에 대해 다른 정신병 환자가 ‘그래도 괜찮아’라며 사랑하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했다”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의 이번 수상으로 베를린 영화제에서의 한국 영화계의 위상은 더욱 높아지게 됐다.
한국 영화는 1961년 강대진 감독의 `마부'가 은곰상을 수상한 이래 베를린 영화제에 9편의 본선 경쟁작을 배출했다.
1994년 장선우 감독의 `화엄경'이 8대 본상 중 하나인 `알프레드 바우어상'을 수상했고 2004년 김기덕 감독이 `사마리아'로 최우수 감독에게 주는 은곰상을 수상했다.
2005년에는 임권택 감독이 세계적으로 영화 인생을 인정받는 영화인에게 주어지는 명예 금곰상을 받고 특별 회고전이 개최되는 영광을 안았다.
박 감독은 지난 2001년 `공동경비구역 JSA'로 베를린 영화제에 첫 선을 보인 이후 2003년에는 `복수는 나의 것'이 포럼 부문에 초청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