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시청률 조사기관인 TNS미디어코리아가 매일 발표하는 시청률이 조작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고 SBS가 보도했다. 그러나 TNS미디어코리아는 시청률 조작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SBS의 보도에 강력 대응방침을 밝혀 논란이 예상된다.
SBS는 16일 'SBS 8뉴스'를 통해 TNS미디어코리아(이하 TNS)가 2003년 10월부터 2005년 1월까지 발표한 시청률 가운데 600여 건이 인위적으로 고쳐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SBS는 TNS의 전 직원이 내부문건이라고 밝힌 '일보점검결과보고서'를 단독 입수했으며 이 문건에는 지상파 방송사의 뉴스 시청률 등이 조작된 사례와 함께 조작을 하게 된 이유 등이 상세히 기재돼있다고 밝혔다.
2003년 11월14일의 경우 A 방송사의 뉴스 시청률이 30.6%에서 25.9%로 조정됐는데 상대 방송사에서 민감하게 반응해 팩스나 메일 형태로 보내는 시청률 일보 내용을 조정했다고 비고란에 그 이유를 밝혔다고 SBS는 전했다.
2004년 2월9일에는 A와 B 방송사의 뉴스 시청률을 맞바꿨는데 늘 시청률이 더 높았던 방송사의 시청률이 오히려 낮게 나왔기 때문에 고쳤다는 설명이 달려있다고 SBS는 덧붙였다.
SBS의 이같은 보도에 대해 TNS측은 "시청률 조작은 전혀 없었으며 사실무근인 SBS의 보도에 대해 법적 수단등을 동원해 강력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TNS 관계자는 "근무태만 등으로 회사에서 해고된 전 직원이 앙심을 품고 SBS 등에 허위제보를 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방송사 등에 일보 형태로 제공되는 시청률은 수작업으로 기재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로 일부 시청률이 잘못 기재돼 정정한 적은 있지만 인위적인 조작은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TNS와 주자료 공급계약을 맺고 있는 KBS와 MBC는 SBS의 보도에 대해 "사실 확인 후 대응책을 모색하겠다"며 신중한 접근 태도를 보였다.
길환영 KBS 편성기획팀장은 "시청률 조사기관과 관련된 문제 제기가 있다는 것은 전해 들었지만 구체적으로 입장이 정리된 것은 없다"며 "좀 더 사실을 확인한 후 내일쯤이나 대응책 등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광한 MBC 편성국장도 "(보도 내용이) 사실이라면 큰 문제지만 시청률은 코바코 산하 '시청률 조사검증협의회'에서 검증하기에 일단 확인될 때까지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한편 국내 시청률 조사시장은 1992년 출범한 AGB닐슨미디어리서치와 1999년 설립된 TNS미디어코리아 가 양분하고 있으며 이들이 매일 산출하는 시청률 자료는 한해 2조9천억원(지난해 기준)에 달하는 방송광고를 집행하는 데 핵심적인 기준자료로 활용되고 있어 이번 SBS 보도는 시청률 조사기관의 객관성에 대한 논란을 야기할 전망이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