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 시각에 우리 색깔을 입힌 ‘한국사람들’

한·불수교 120주년 기념공연 극단 우투리 성남아트센터서

세계적인 대기업 질레트의 CEO. 1927년 태어나 지금까지 생존해 있는 희곡작가이면서 소설가인 프랑스의 가장 유명한 극작가 미셸 비나레르(Michel Vinaver).

그가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1955년 집필한 처녀작 ‘한국전쟁’. 1950년대 프랑스인들에 의해 만들어졌던 연극 ‘한국전쟁’이 한·불수교 120주년을 맞아 한국인들에 의해 새로운 작품으로 탄생, 오는 10~19일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 무대에 올려진다.

특히 이번 작품은 비나레르와 연출작업을 함께 해온,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34살의 젊은 프랑스 여성연출가 마리온이 장단과 대사를 한데 엮는 연출가 변정주, 한국 극단 ‘우투리’와 만나 한국에서, 한국 배우들과 공연한다.

연극 ‘한국전쟁’의 배경은 38선 부근의 유원마을. 미군의 폭격으로 유원마을의 모든 게 파괴되고 삶은 혼란에 빠지고 사랑하는 사람들도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다시 일어나 살아가기 시작하고 유원마을에서 멀지 않은 숲속에서 프랑스 병사 5명이 길을 잃는다. 어린 소녀는 부상당한 프랑스 군인을 발견하게 된다. 소녀는 사망한 미군의 시신을 묻는 것을 도와주고 프랑스군은 소녀의 오빠 시신을 묻는 것을 도와 준다. 소녀는 프랑스 병사들을 마을로 데리고 온다.

이 작품은 전쟁의 좌우 이데올로기에 대한 이야기라기보다는 전쟁의 아픈 기억들을 간직한 채 새로운 삶과 사랑을 시작하는 유원마을 사람들의 삶과 현실이 바뀌어 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유엔군으로 파견된 프랑스군 벨레르와 그 주변 사람들, 전쟁의 상황을 통해 변해가는 마을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한국전쟁을 좌우 이데올로기의 대결로 보지 않고 침략에 대항하는 남한과 해방의 명목으로 싸우는 북한의 입장을 동등하게 비교하고 있다. 어떤 이념이나 정치적 입장보다는 전쟁의 과정 속에서 마을사람들이 겪는 고통의 메아리를 서정적으로 그리면서 주인공인 벨레르가 진정한 의미의 인간이 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파괴자가 구원자가 되고 침략자가 해방자가 되고, 침략자가 피해자가 되는 전쟁은 모든 것을 파괴하고 제 명을 다하지 못하고 죽은 영혼은 귀신이 되어 세상을 떠돈다.

연극 ‘한국사람’들은 한국전쟁에서 죽은 모든 영혼들을 불러내 한 판 놀이판을 만들고 그들의 넋이 편안히 천지로 흩어져 자연으로 돌아가게 하는 한판 씻김굿을 펼친다.

탈놀이, 씨름, 전통무술 등을 이용해 이미지와 장면이 구성되고, 사람들이 뒤엉켜 무덤이 되고 사람이 한 세트가 된다. ‘우리 집에 왜 왔니’, ‘가위 바위 보’, ‘기념상놀이’, 죽 끓이는 놀이’ 등 우리의 놀이와 몸짓을 통해 전쟁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국사람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의 메아리를 냉철하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보여준다.

S석 2만원, A석 1만5천원. 문의(031)783-8000

/이종현기자 major01@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