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오가 변신하고 있다. 이제는 컴퓨터로 라디오를 듣는 시대다.
인터넷 라디오 KBS ‘콩’과 MBC ‘미니 MBC’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KBS 라디오는 지난 4월 24일 보유하고 있던 여섯 개 채널을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들을 수 있는 라디오 플레이어 ‘콩 KONG(KBS On-Air No Gravity)’을 출시했다.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 다운로드 서비스를 시작한 지 4주만에 접속자수 100만명을 돌파했고,22만명이 다운로드 받았다. 3월2일 서비스를 시작한 ‘미니 MBC’ 역시 하루 평균 이용 건수가 161만6199건에 달할 정도로 좋은 반응. 이들 인터넷 라디오는 입소문을 타면서 다운로드 수가 갈수록 늘고 있어 임시 서버를 동원해 접속자 폭주에 비상대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터넷 라디오는 무엇이 좋을까. 인터넷만 이용할 수 있으면 바탕 화면에서 클릭 한 번으로 잡음 없이 라디오를 들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무료로 문자를 보내고 선곡표 등 제작정보와 MC의 깜짝 메시지까지 볼 수 있다.
이들 서비스에 대해 가장 뜨거운 반응을 보이는 것은 잡음 때문에 라디오 듣기가 짜증스럽던 난청 지역과 해외의 청취자들. KBS 홈페이지에는 ‘콩을 너무 오래 기다렸습니다. 이제 난청지역에서도 1FM을 원없이 들을 수 있어 행복합니다’(홍기성) ‘외국에서도 한국의 라디오를 들을 수 있게 해주다니 너무 좋아요’(김영진) 등 소감이 올라와 있다. KBS의 경우 음질이 생명인 1FM(고전 음악)은 고음질에 대한 찬사가,수도권에서만 들을 수 있는 2FM(대중음악)채널은 지방 청취자들로부터의 환호가 눈에 띈다. 특히 AM채널의 한계로 실내 수신이 어려웠던 장애인 전문 채널 3R도 콩을 통해서는 전국 어디서나 좋은 음질로 들을 수 있다.
가장 먼저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를 시작한 MBC는 “특히 요즘 젊은 층에게 인기인 문자 메시지 전송이 무료여서 반응이 좋다”면서 “단순히 방송을 듣기만 하는 수동적 청취가 아니라 직접 방송에 참여할 수 있는 적극적 청취의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