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씨 살려라’ 외교채널 총동원

‘피랍 김선일씨를 구출하라’

이라크 추가 파병을 목전에 둔 21일 새벽 미군 군납업체인 가나무역(대표 김춘호)의 직원 김선일씨(33)가 나흘 전 이라크 무장단체에 피랍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정부가 김씨 구출을 위해 비상 체제로 전환했다.

청와대는 물론 외교, 국방부 등 관련 부처는 이번 사태가 정부의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에 미칠 여파를 예의 주시하는 가운데 일단 사태 파악과 함께 김씨의 신변안전과 무사 석방을 위해 총력전 체제로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 중이다.

정부는 이날 새벽 6시40분께 최영진 외교통상부 차관 주재로 긴급 대책회의를 연 데 이어 오전 8시 청와대에서 권진호 국가안보보좌관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소집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정부 당국은 그러나 납치단체의 ‘24시간내 살해’ 경고에도 불구, 이날 대책회의에서 ‘추가 파병 원칙 불변’ 입장이 결정됨에 따라 김씨가 마땅히 석방돼야 한다는 당위론과 ‘파병 불가피론’의 현실론 사이에서 말 못할 고민에 휩싸여 있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김씨 ‘무사귀환’을 위한 묘책 마련에 진통이 따를 전망이다.

NSC는 또 이라크 재건 지원차원에서 이뤄지는 군 파병은 예정대로 추진해 나가기로 입장을 정했으며 피랍된 김씨 석방을 위해 대미 협조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 대책은 김씨 구출 방안과 유사 사건 재발 방지 등 두 축으로 전개된다.

정부는 이라크 현지 대사관이 이슬람 성직자협회와 CPA(미군 임시행정처), MFNC(다국적군사령부), 이라크 외교부 등의 협조하에 석방교섭을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주재 중동 12개국 대사들에게 협조를 요청하는 등 다각적인 석방 노력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현지교민 관리대책에 둘러싼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신봉길 대변인은 현지 교민들과 e-메일, 전화 등을 통해 수시로 연락해 왔다고 밝혔지만 이번 사건이 17일 발생 후 언론에 공개되기 전까지 외교부가 김 씨의 행방불명에 대해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문제라는 것이다.

특히 현지 교민이 67명에 불과한 점과 정부의 이라크 파병 결정으로 현지 반한 감정이 커질 수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지 공관과 외교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현지의 교민들을 챙겼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