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guitar)의 시조 류트(lute)를 아시나요?’
국내 유일의 류트 연주자이자 제작자로 알려진 김영익씨(47)가 22일 오후7시30분 예술의전당 리사이트홀에서 ‘김영익 귀국 류트 연주회’를 갖는다.
1976년 클래식기타 공부를 시작해 1980~1983년까지 연주활동을 펼치던 그는 93년 이태리 파비아시립음악원의 클래식기타 5년과정을 수료했다. 그 뒤 2001년에는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을 졸업하고 같은해 밀라노 아카데미 전문연주자 과정을 거쳐 지난해에는 베네치아 고음악 아카데미 전문연주자 과정을 졸업한 뒤 7월에 귀국했다.
류트와 인연을 맺은 것이 바로 이태리 유학시절. 달콤하고 부드러운 소리의 매력에 이끌렸다. 현대적 악기에 비해 소박하지만 좀 더 자연에 가까운 음은 인간의 마음을 평온하게 해준다.
“한 마디로 모든 현악기의 조상이자 옛 음유시인들의 악기라 할 수 있죠. 말로 표현하긴 뭐 하지만 일단 한번 들으면 독특하단 생각과 고풍스러우면서도 청량하단 느낌이 들겁니다.”
류트는 연주자 개개인의 신체에 맞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은 불가능하며 주문제작을 해야한다. 그나마 국내에는 악기가 없을 뿐 아니라 만드는 곳도 없어 직접 손으로 깎고 다듬어 붙였다는 김씨. 이번 무대에는 여섯줄, 열줄짜리 류트와 함께 성인 키 만큼 큰 열네줄의 대형 류트 ‘티오르바’도 등장하는데 류트중 가장 음역이 넓고 웅장한 소리를 낸다. 이 모든 제작법은 밀라노 시립악기 제작학교에서 배웠다.
연주곡은 르네상스 시대에 유행하던 음악 중심으로 구성했다. 국내에선 좀처럼 듣기 힘든 곡들이라 흥미와 기대가 교차된다.
“연주만 하면 지루할 것 같아 노래도 많이 넣었습니다. 어떤 곡은 노래가 끝나며 시 낭송이 도입되기도 하지요. 호기심이라도 발동한다면 일단 와서 보고 들어보십시요.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김씨를 도울 협연자로 쳄발로 이종실, 소프라노 김호정, 고음악 성악앙상블 ‘스콜라 칸토룸 서울’ 등이 나선다. 예약 및 문의 (02)586-0945/1588-7890 /박노훈기자 nhpark@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