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라니 맑은 빛...청화백자 전시회

조선 백자의 아름다움을 현대적 조형예술로 발전시킨 정희균씨(37)가 12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압구정동에 위치한 인데코갤러리에서 ‘청백자·청화백자전’을 개최한다.

이번 개인전은 정씨가 1999년 가야대학교 예술학부 도예전공 교수로 재직하던 중 홀연히 일본 유학을 단행, 국립동경예대에서 석·박사 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제작한 작품들이다.

출품작은 크게 청백자(靑白磁)와 청화백자(靑花白磁)로 구분된다.

다소 생소한 단어인 청백자는 백토 소지(흙) 위에 청자유약을 입힌 것으로 백태청자로도 불린다. 작품 성형은 무늬를 새기는 조문(彫紋)을 비롯해 면치기, 상형 등의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청화백류의 작품은 백토로 기형(器型)을 만들고 회청(回靑) 또는 토청(土靑)이라 불리는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렸다. 그 위에 순백의 유약을 씌워서 맑고 고운 푸른색의 무늬가 생긴 것이다.

정씨의 작품은 화려하지는 않지만 정감이 넘치는 북어, 굴비, 꽁치, 포도, 정자(亭子) 등을 소재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서울대 공예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정희균씨는 3회의 개인전을 열었으며, ‘전통공예품의 현실수용에 대한 재고와 제언’ 등 10여개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일본 동경 도예전문갤러리 전속작가이자 동경예대미술관샵, 갤러리 킹교, 하야이시 갤러리 상설작가인 정씨는 지난해 ‘인간부흥의 공예-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를 넘어서’(학고재 刊) 역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02)511-0032

/이형복기자 bo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